earticle

논문검색

고졸 청년여성의 취업과 직장 경험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특성화고 졸업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High School Graduates Young Women’s Employment and Career - Focused on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 in Gwangju -

김정선, 김지영, 추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urpose to analyz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youth women’s employment, career and their experience in Gwangju by interview. For this purpose, we look at the employment situation of specailized high school graduate for last 4 years, policies about youth employment and high school graduates in Gwangju. And We tried to listen the experience of career/emplyment and the opinions of vocational education by interviewing women graduates and teacher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ituation show that women are at relatively higher employment rates and salary starting salary levels. However, women’s employment stability was low.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trictive employment in occupations still a gender separation syst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eginning salary level appeared to drop for both men graduates and women graduates, unlike the employment rate of specailized graduates rising every year. In other words, a specailized high school graduates are likely t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in terms of quality of labour. Second, interview subjects choose employment influenced by the high school graduates limited competition system. The women participated in various job preparation programs while in school, but these programs are not a real help to workplace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labor market entry and maintain work of employees is complex impact such as unbalanced labor relations, wages, working conditions, work intensity, corporate welfare and work conditions, etc.. Third, vocational education tends to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This reflects the need of enterprises, at the same time reveals a contradiction in the unequality of labour market structure. It sai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to help maintain employment and career. But actually, this training methods are likely to hinder the students recognized labor rights. Forth, Women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due to age and level of education. And There was a look of resolve to work with the informal networks and personal strategies rather than resolved through the formal system when problems occur. Social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on the basis of at lea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aintain a career for women who graduate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hat long-term prospects of va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apacity building program, concidering gender-based and job-specific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usiness environ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career develop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try to make labor-friendly and youth-friendly labor market structures, as a whole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이명박 정부의 특성화고 활성화 정책 이후 광주지역 특성화고를 졸업한 고졸 여성청년층의 진로・취업 현황을 분석하고, 광주지역 여성청년층 고용문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광주지역의 고졸자 취업현황을 살펴보고, 여성청년층의 진로 및 취업에 관한 경험을 인터뷰했다. 최근 4년간 특성화고 졸업자 취업현황을 성별통계화하여 분석한 결과, 취업률과 초임 연봉수준에서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안정성은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으며, 여전한 성별직종분리체계 속에서 제한적인 취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취업률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남성과 여성 모두 초임 연봉수준이 점점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의 양적 측면이 아닌 질적・문화적 수준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자들이 차별받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면접대상자인 청년여성들이 대학 진학이 아닌 취업을 선택하는 데에는 정부의 특성화고 활성화 정책인 고졸자제한경쟁제도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학교가 제공하는 다양한 진로-취업 준비활동에 참여하였으나 그러한 활동이 졸업 후 직장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자들의 노동시장 진입과 직장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균형한 노동관계, 임금, 노동환경, 노동강도, 사내복지와 같은 노동조건 등이 복합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노동시장의 불균형과는 모순적으로 학교 교육은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수월한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유지를 위한 것으로 정당화되지만 학생들의 노동권 인식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면접대상 여성들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나이, 학력 등으로 인한 차별을 받기도 하였으며, 업무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공식적인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기보다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나 개인적 전략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성화고 졸업 청년여성층의 경력유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망을 가진 직업교육 및 성별・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취업역량강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불균형한 고용노동시장과 노동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고용정책 및 사회참여 프로그램 제공이 중앙정부와 지자체 정부 차원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청년층 내부의 차이를 고려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2.1 선행연구
  2.2 연구방법 및 절차
 Ⅲ. 광주광역시 특성화고 졸업자 현황 및 시사점
 Ⅳ. 광주광역시 특성화고 졸업 여성의 직장 선택과 경험
  4.1 특성화고 선택 요인
  4.2 취업준비과정 및 어려움
  4.3 직장 적응 및 경력개발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선 Jeong-Seon Kim.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김지영 Ji-Young Kim. 전남대학교 여성연구소 연구원
  • 추주희 Ju-Hee Choo. 전남대학교 시간강사. 전남대학교 여성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