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llege clients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uring each session of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which of the clients’ and the counselors’ working alliance has more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uring the whole session of counseling. To accomplish these tasks, the working alliance measure for clients and counselors a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measure were used after first, third, fifth sessions. This research targeted counselors who provide career counseling service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seek for advice with regard to their career. A total of 38 sheets of career counseling cases conducted in university-affiliated counseling centers, professional private counseling centers,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Daegu, and Busan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o se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working alliance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until the fifth session, only the career counseling in at least more than six closed sessions was used for sampling. For measuring instruments, the working alliance measure for clients and counselors a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measure were used, an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8.0.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task,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first and fifth sessions but had a partial effect in the third session. Second,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task,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had more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sessions than on the counselors’ working alliance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ses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could identify the effect of the working alliance on the counseling results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the career outcome in each session by conducting the measurement for three times until the fifth session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iciency of the working alliance in each session as a method to improve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담 회기별로 알아보고, 상담자와 내담자 각각의 작업동맹이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비교해봄으로써, 진로상담 장면에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탐색행동을 실행하기 위한 상담관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1,3,5회기가 끝난 후 내담자와 상담자의 작업동맹 질문지와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 질문지를 실시하게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구,부산에 소재하는 대학부설 상담소, 지역사회 상담전문기관, 공공기관 상담소,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진로상담을 하는 상담자38명(석,박사학력 이상의 상담자)과 그 상담자로부터 상담을 받는 대학생 내담자 38명이고, 이들로부터 5회기까지의 작업동맹 수준과 진로탐색행동의 변화를 보기위하여 최소 종결 6회기 이상의 38케이스를 진로상담 표집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작업동맹 척도 내담자용, 상담자용과 진로탐색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1회기와 5회기에서는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3회기에서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1,3,5회기 전체 상담자의 작업동맹보다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1,3,5회기 전체의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에 더 큰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동맹이 회기별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진로상담 장면에서 5회기까지 3번에 걸쳐 측정함으로써, 회기에 따른 내담자의 작업동맹 수준과 진로성과 간의 관계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장면에서 그들의 진로탐색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동맹의 회기별 효과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작업동맹의 정의
2.2 내담자와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와의 관계
2.3 진로탐색행동의 정의
2.4 내담자-상담자의 작업동맹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절차
3.3 측정도구
Ⅳ. 분석결과
4.1 회기별 내담자의 작업동맹과 내담자 진로탐색행동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
4.2 회기경과에 따른 내담자 변인의 추이
4.3 회기별 내담자의 작업동맹 수준이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4.4 1, 3, 5회기 상담 전체 내담자 작업동맹, 상담자 작업동맹,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의 주요변수들 간의 상관
4.5 내담자 작업동맹이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상담자 작업동맹이 내담자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