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inkage Structure of Causes of Inactivation of Samaul Undong in Local Government :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 linkage structure on the causes of Saemaeul Undonginactivation i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stead of showing the causes that are not activate Saemaeul Undong and suggesting measures to improve Saemaeul Undong. The study uses 19 causes of Saemaeul Undong-inactivation to identify the linkage structure that can show the networks among the causes of Saemaeul Undong-inactivation by conduct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tudy collects data from 122 Saemaeul leaders working in Gyeongsangbok-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re are 2 networks of an identification of Saemaeul Undong and a promotion strategy of Saemaeul Undong. The study can identify some causes tha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network of the identification of Saemaeul Undong and the network of the promotion strategy of Saemaeul Undong. This study shows that local governments need to conduct an analysis of linkage structure that can set priority among alternatives to make Saemaeul Undong active in their commun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실시된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새마을 지도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여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 간의 관계적 구조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새마을운동 정체성 문제와 새마을운동 추진전략 문제의 2개 연결망이 상호 연결된 형태의 관계지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네트워크 지도에서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 중 일부는 새마을운동 정체성 문제와 새마을운동 추진전략 문제의 연결망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일부 원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새마을운동 정체성 문제와 새마을운동 추진전략 문제에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개의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이 새마을운동 정체성 문제 연결망과 새마을운동 추진전략 문제 연결망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매개연결망은 새마을운동 정체성 문제와 새마을운동 추진전략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그리고 각 대안의 공동작용 효과를 어떻게 발생시킬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새마을운동에 관한 고찰
1. 새마을운동의 동향
2. 지방정부의 새마을운동
3.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및 네트워크 분석결과
1.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 선정
2. 자료수집 및 분석기법
3. 새마을운동 비활성화 원인 간 네트워크 분석
Ⅳ.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