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

원문정보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채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biggest issues we modern-day Christians face is the absence and exhaustion of spirituality. Then, what is the spirituality? Unfortunately, we so easily confine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in the limits of our knowledge and belief. Then, what is the holistic spirituality which is receiptable, enables dialogues with otherness, and expands beyond boundaries of normative definition and limitation of spirituality? On this point, wholeness does not mean unclassified. Even though it is holistic, holistic spirituality would need certain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y employing Michael Downey’s classification of today’s Christian spiritua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the popular introductory texts for the spirituality in North American seminaries. How do we effectively teach spiritual education in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needs of human mind,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urch unity, and a cultural-contextual understanding of Korean multi-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 Furthermore, how do we establish this theory? Thus,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the theoretical bases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In developing this study, firstly, I will discuss a need of understanding the holistic spirit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elaborate existenti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contemporary man as a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I also will delve into ecumenical needs of world church as an intra-relational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urthermore, from a cultural and contextual perspective, I will deal with th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Second, I will provide a defini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in light of the above psychological, theological, and contextual bases. In addition, I will describe characteristics of the holistic spirituality arising from these perspectives. Finally,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concerning holistic spirituality for the Christian education. What should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based on psychological, theological, cultural-contextual perspectives be? Fir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restoration and healing of relationship in human mind. Second,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the ecumenical church union and unity. Last, it should be a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consider contexts in order to connect knowing and living with inner spirituality and outer spirituality of human beings.

한국어

현대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이 가지는 큰 고민 중 하나는 영성의 부재(不在)와 고갈(枯渴)일 것이다. 그러면, 이 영성이란 대체 무엇인가? 안타깝게도 우리들은 너무나 쉽게 우리가 알고 있고 또 믿고 있는 범위 내에서 영성을 정의하고 단정 지으려 한다. 그렇다면 나의 규정적 영성의 정의와 한계를 넘어서는 포괄적인 영성, 그래서 다름과 더불어 대화가 가능한 수용성 있는 통전적 영성이란 무엇일까? 통전성은 몰분류성의 어수선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통전성은 관점의 배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미(北美)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성신학 입문서라 할 수 있는 마이클 다우니(Michael Downey)의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에 나오는 현대 영성의 분류에 근거한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인간내면의 실존적인 요구에 근거한 심리학적 이해들, 교회연합을 위한 통전적 영성의 신학적 이해들, 그리고 다문화 다종교사회인 한국적 상황 속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전해질 수 있는 기독교의 영성교육은 어떤 정의를 가지며, 어떤 이론적 기초위에 세워져야 할 것인가? 이에 본 논문은 통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영성교육의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바탕이론에 관하여 연구해 볼 것이다. 우리는 먼저 현대 영성의 유형들에 근거한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1) 영적 목마름 속의 현대인들의 실존적이며 심리학적 요구와 2)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생겨나 지금은 그 교파의 수조차 헤아릴 수 없이 갈라진 교회의 연합적 필요에 대한 신학적 부응(副應) 그리고 3) 타 종교인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다종교의 한국적 상황 속에서 대화의 접촉점으로서의 통전적 영성이해의 필요들을 짚어보려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1) 심리학적, 2) 신학적, 그리고 3) 문화, 상황적 필요들을 토대로 통전적 영성에 관하여 그 특징들을 중심으로 정의 내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이해와 정의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으로써의 통전적 영성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해 보려 한다. 심리학적, 신학적, 문화상황적 관점으로 본 통전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하여야 하는가? 첫 번째로 통전적 인간 내면의 치유를 위한 관계성 회복의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교회연합과 일치를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앎과 삶을 이어주고, 인간의 내적영성과 외적영성을 이어주는 상황을 고려하는 통전적 영성교육이 되기를 소망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현대 영성의 이해들
  1. 인간 내면적(intra-personal) 영성이해: 심리학의 자아실현과 참된자아발견, 그리고 영성의 하나님과의 합일을 통한 자아 회복
  2. 기독교 내부적(intra-relational) 영성이해: 교회 연합적(Ecumenical)필요에 부응
  3. 한국 문화상황적 영성이해: 관계적(inter-relational) 영성으로서의 타(他)종교와의 대화
 III. 통전적 영성이란 무엇인가?
  1. 인간 내면적인 통전적 영성: 인간 실존의 문제해결을 위한 전인이 만나는 초월
  2. 기독교 내부적인 통전적 영성: 이분법적 도식을 극복하는 통전적 신학
  3. 한국 상황적인 통전적 영성: 부분과 전체 속에 임하는 통전의 하나님
 IV. 통전적 영성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성
  1. 통전적 인간 내면의 치유를 위한 관계성 회복의 기독교 영성교육
  2.. 교회연합과 일치를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
  3. 상황을 고려하는 기독교 영성교육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혁수 Chae, Hyeok-Su. 영남신학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