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성탄절 새벽송에 대한 예전적 연구

원문정보

A Litugical Research on Korean Christmas Carrol in Christmas Dawn

전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ristmas was clearly a religious holiday of Christianity. An it must be originated from the Western culture. If we observe the old record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Christmas was firstly introduced by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Actually, Christmas introduced by them was just an object observed by Koreans. However, Christmas has been placed at the center of Korean life as a significant annual cyclical rituals. This observation is not limited to Korean Protestants. It has also become a part of Korean life. Christmas is already influencing a pattern of Korean life related to an annual cyclical culture. Christmas is accepted not just as a religious holiday but also an annual cyclical one. More precisely, it has become a year-end culture instead of Dong-Ji which is Korean year-end ritual. Christmas in Korea is dualistic. It is perhaps showed clearly in a course of dualistic acceptance of Christmas in Korean society. Actually Korean society accepted the term ‘Christmas’ in two ways. One is Christmas of Jesus and the other is Christmas of Santa Claus. A secular Christmas, Christmas of Santa Claus, used to be criticized by Christians. Unfortunately, there is conflict between religious Christmas and secular Christmas. In other word, it seems that Christmas of baby Jesus and Christmas of Santa Claus are aggressive to each other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ritualistic nature of Christmas dawn carol widely accepts this dualistic Christmas. Precisely, to understand it is deeply based on a perspective that Christmas in Korean society is dualistic. In fact, Christmas carol in dawn has a liturgical importance to overcome the duality of time and space formed in the competition between a Korean Christian culture and a Korean secular consumptive culture. Also, the spirit of Christmas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public good in Korean society is still working liturgically and festively in Christmas dawn carol.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 liturgical meaning of Christmas dawn carol.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observe Korean dawn carol on the perspective of Koreanization. Christmas already exist as a Koreanized Christmas and Christmas dawn carol can be understood on this perspective.

한국어

성탄절 혹은 크리스마스는 분명 기독교의 종교적 의미를 가진 명절이고 또한 서양의 풍습으로부터 전래되었다. 19세기 후반 기록들을 살펴보면, 이 성탄절을 한국 사회에 처음 전한 외국인들은 대부분 개신교 선교사역과 관계된 사람들이었다. 이들에 의해 소개된 크리스마스는 한국사회에서 처음에는 관찰의 대상일 뿐이었다. 지난 1세기 동안 크리스마스는 한국인의 삶에 중요한 현대적 세시풍속적 절기로 자리 잡았다. 이제 오랜 시간이 지났고 크리스마스는 이미 서양의 절기로써가 아니라 한국 사회 깊숙이 뿌리박힌 삶의 일부가 되었다. 이것은 단지 기독교인들에게만 한정된 진술이 아니다. 이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을 떠나 크리스마스는 한 해를 살아가는 한국 사람들의 시간적 주기성과 삶의 패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한국의 크리스마스는 ‘이원적’이다. 이것은 어쩌면 크리스마스라는 용어를 이원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잘 드러내 준다. 실제적으로 서양의 용어 ‘CHRISTMAS’를 한국 사회는 두 가지로 받아들였다. ‘아기 예수의 크리스마스’와 ‘산타클로스의 크리스마스’이다. 때로 세속화된 크리스마스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있다. 실제로 오늘날 크리스마스는 종교적인 영역과 세속적인 영역에서 갈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예수의 크리스마스와 산타클로스의 크리스마스의 이원화된 구조가 경쟁적인 구도로 자리 잡으면서 서로를 비판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성탄절 새벽송의 예전적 본질은 넒은 의미에서의 다양한 크리스마스에 대한 이러한 이원적인 이해가 전제되어 있다. 다리 말해서 한국 사회에 정착한 CHRISTMAS를 ‘성탄’과 ‘크리스마스’라는 이원론적 구도에서 받아들이는 것은 이 절기 주위에 있는 새벽송의 예전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오히려 새벽송은 다원화된 한국 사회 속에서 이원적으로 형성되어 정착한 크리스마스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극복하는 예전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를 밝히고 공공성을 이루어온 크리스마스의 정신은 예전적으로 그리고 축제적으로 새벽송에 이어져 오고 있다. 이 논문은 크리스마스 새벽송의 예전적 의미를 발굴하고 재현하는데 그 의미가 있지만 그 출발은 ‘한국화’이라는 주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크리스마스는 이미 우리 안에서 한국화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새벽송 자체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새벽송에 대한 ‘예전적 접근’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성탄절 새벽송의 예전적 의미
  1. 시간성(주기성)과 예전적 의미
  2. 공간성과 예전적 의미 – 성육신
  3. 공공성과 예전적 의미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창희 Jeon, Chang-Hee. 협성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예배와 설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