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의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재고찰 : 브랜드 계층 구조 관점에서

원문정보

A Re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Brand Attitude : The Perspective of Brand Hierarchy

양재호, 서해진, 송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sumers demand that corporates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by exerting influence over not only economical values but also social values in markets. Given such a social mood, most corporates are actively engaging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 and marketing scholars continue to study the effects of such CSR activities. Numerous such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y and brand equity. Moreover, virtually, a majority of these studies focused on consumer responses to CSR activity from an individual brand perspective. In a situation in which brand management must consider the spillover effects of brands, firms holding various brands should consider these spillover effects when they establish CSR activity strategies. Therefore, we examine the effects of CSR activity us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hierarchy of brands. Additionally, we develop a new perspective on fit that has been used as a major influence on the effects of CSR activity. We argue that the mixed results of the impact of fit regarding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connections among brands based on the hierarchy of brands. We then examine the effect of two types of CSR activity strategies that reflect the relativity of fit. The results reveal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act of the two strategies based on unique roles and traits of corporate brand and effects of low fit. Also, we found that the corporate brand focused strategy creates a greater change in consumers’ attitudes than does an individual brand focused strategy in the case of a particular brand. This finding is meaningful because it indicates that a hierarchy of brands may relatively reduce the impact of the role of fit, unlike general arguments from previous related research. Second, the spillover effects from the CSR activities of individual sub-brands belonging to the same corporate brand were confirmed. Therefore, we clearly verified the role of the hierarchy of brands. Although both strategies caus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 toward brands engaged in CSR activity, overall, a corporate brand focused strategy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an individual brand focused strategy because of the spillover effects of brands. Thir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a corporate brand focused strategy through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of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brands and corporate brand. Give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a moderating role in the degree of association and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s toward both main brands engaged in CSR activities and other different individual brands, which were caused by the spillover effects of brands.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한국어

소비자는 시장에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해 기업들은다양한 사회적 책임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가고 있다. 아울러 학계에서도 CSR활동의 효과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CSR 활동과 브랜드 자산가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연구의 대다수가개별브랜드 관점에서 CSR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브랜드 매니지먼트 관점에서 볼 때, 대부분의 기업들이 다수의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는 상황을고려한다면 기업브랜드를 포함하여 살펴보는 것이 CSR활동의 효과를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브랜드 간 파급효과를 고려한 브랜드 운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다수의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이 CSR활동 전략을 수립할 때에도브랜드 간 파급효과를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계층구조에 따른 브랜드 운용과 CSR활동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였으며, CSR활동 적합성의 상대성을 반영한 2가지 CSR전략 유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개별브랜드 중심 CSR전략과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의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부 개별브랜드의 경우에는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이 오히려 더 큰 소비자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냈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CSR활동 관련 연구에서의 일반적 주장과 달리 브랜드 계층구조의 영향으로 적합성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동일한 기업브랜드에 속하는 하위 개별브랜드들 사이에서 CSR활동에 의한 파급효과가나타나, 명확한 브랜드 계층구조의 역할을 검증했다. 이를 통해 개별브랜드 중심 CSR전략과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 모두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 변화를 유발하지만, 기업 전체적인측면에서 살펴본다면 브랜드 간 파급효과를 낳는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이 더 효과적일 수있음을 밝혔다. 셋째, 개별브랜드들과 기업브랜드 간 연상의 강도를 달리하여 기업브랜드 중심CSR전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상 강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기업브랜드 중심CSR전략의 효과는 기업브랜드를 통한 브랜드 간 연상의 파급효과에 기인함을 검증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
  2) CSR활동 적합성(Fit)
  3) 소비자 반응
  4) 브랜드 계층구조(Brand Hierarchy)
 3. 가설 설정
  1) 개별브랜드 중심 CSR전략 vs. 기업브랜드 중심CSR전략
  2)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
 4. 연구방법
  1) 실험 1
  2) 실험 2
  3) 실험 3
 5. 결론
  1) 연구 결과의 요약
  2)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및 발전방향
  기업브랜드 중심 CSR전략 시나리오 예시
  개별브랜드 중심 CSR전략 시나리오 예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재호 Jaeho Yang.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서해진 Haejin Seo.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송태호 Taeho Song.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