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Crisis Management Using Big Data

원문정보

빅데이터 분석활용을 통한 위기관리분야 연구의 발전방향

Seol A Kown, Jee Eun Kim, Jae Eun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ig data can be considered a new paradigm not only in developing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but also in the area of comprehensive crisis management. To keep in step with this trend,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ways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a crisis management system by crisis typ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as follows: First, big data in the field of crisis management has been used on analyzing disaster area, that should be expanded to the non-utilization field. Second,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infrastructure utilizing big data is of vital importance now. Third,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should be used to their maximum potential as utilizing big data. Therefore, it will be analyzed synthetically and scientifically if big data-utilized data processes such as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by making use of large-scale and complex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한국어

첨단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빅데이터는 스마트혁명 시기에 혁신과 경쟁력 강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간주되고 있고, 이를 재난분야에서 활용하는 것 또한 세계적인 흐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위기 유형별로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빅데이터의 위기관리 분야는 재난영역에 발달이 집중되어 있어, 비 활용분야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위기관리분야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아직 위기관리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대규모 재난재해 사고는 발생 빈도가 매우 낮아 관련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과거 재난이력 및 원인분석결과, 위성영상, 시뮬레이션 등을 의미적 통합분석을 한다면 재난관리 전 과정이 과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Definition of Disaster and Type of Crisis Management
  2. Big Data and Disaster
  3.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ig Data in Crisis Management Field
 Ⅲ. Big Data Utilization Possibility by Crisis Type
  1. National Living Safety Crisis
  2. Disaster Crisis
  3. Traditional Security Crisis
  4.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Ⅳ. Big Data-Based Management Systems by Crisis Typology
  1. National Living Safety Crisis
  2. Disaster Crisis
  3. Traditional Security Crisis
  4.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Ⅴ. Big Data-Based Management Systems by Crisis Typology
 Ⅵ. Conclusion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eol A Kown 권설아.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Korea
  • Jee Eun Kim 김지은.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Korea
  • Jae Eun Lee 이재은.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