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거부민감성, 우울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Relationships of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 Regulation

홍상황, 박우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dep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and to derive representative profile types which result from the interaction of research variable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K-Means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four profile types were driven as functional, social supported, high-risk, and average type, and the order of depression rate among these profile types was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high-risk>average>social-supported>functional group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nctional and social-supported types. In addition, when compared to the scores of relational aggression among the four profile types, there functional, social-supported, and average typ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only the high-risk type was higher than the other three types. Lastly, education implication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 우울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연구변인들의 점수가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대표적인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우울,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가 각각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능적, 사회적 지지, 고위험 및 평균 유형 등, 총 4가지 군집 프로파일 유형이 도출 되었고, 이러한 프로파일 유형 간의 우울점수는 고위험>평범>사회적 지지>기능적 유형 순으로 높고, 기능적 유형과 사회적 지지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가지 프로파일의 관계적 공격성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사회적 지지 및 평범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위험군은 다른 3가지 프로파일 유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가지는 교육적 함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연구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연구결과
  변인간 상관, 기술통계치 및 내적 합치도
  조절효과 검증
  군집분석 프로파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상황 Sang-Hwang Hong.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박우람 Woo-ram, Park.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