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oseonsa Avalokiteshvara and 18CE Buddhist Images’ Migration to the Seoul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Bukhansanseong Garrison Temples

조태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Doseonsa stone seated Avalokiteshvara’s votive relics were found. Avalokiteshvara votive relics, which were enshrined in, were a votive document(發願文), a repairing votive document, Huryeongtong, two papers of torn lotus sutra. According to two votive documents, five monk sculptors were participated to render this Avalokiteshvara in 1670, and this Avalokiteshvara were relocated to Jingwansa in 1733. The leading monk sculptor, Seungho was one of the prominent fig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 history. He created over hundreds Buddhist images over thirty temples in Yeongnam area. This stone seated Avalokiteshvara is Seungho’s earliest work, by which it will help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Seungho’s stylistic development from the early stage to the mature. Two votive documents well reflect the phenomenon, in which we can trace the early 18th century Buddhist community’s history.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Buddhist commun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defend Joseon dynasty’s fate. Buddhist community’s contribution to preserve dynasty’s sovereignty could help to derive an amicable attitude from a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Also, Joseon dynasty’s ruling class need to exploit Buddhist community’s organizational as well as labor power to realign defend system, covering the capital city and other strategic points. One of plans to guard the capital city was to build a fortress in 1710-1711 on the Mt.Bukhan, whose location lies north of Seoul. The Joseon dynasty’s elite class decide to abuse Buddhist community’s labor power to construct this fortress and to exploit Buddhist community’s personnels to maintain Fortress’ security. For the fortress garrisons, most of composing of Buddhist monks, over 10 temples were newly constructed. To make up 350 garrison, all over the country’s temples had to sent a certain numbers of monks every two month. Bimonthly monks migration from all over the country might trigger off small temples renaissance such as Jingwansa and Dosensa underneath Bukhansanseong Fortress. Some of votive documents, which were found inside Buddha statues in Seoul, show that their original enshrined temples are not their present temples but somewheres in Jeonla province. These votive documents might indicate that these Buddha statues were moved because of Bukhansanseong garrison temples as well as other small temples underneath fortress.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vide an answer ‘why many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statues were enshrined in Eunpyeon-gu, Dongdaemun-gu, Seongbuk-gu and Seodaemun-gu. These areas’s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tatues might be transferred when 18th century Bukhansanseong Fortress were build. This study would help to enlarge the academical research point from monk sculptors’ stylistic development to sociohistorical approaches.

한국어

도선사 소장 석조보살좌상에서는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나 온 복장유물은 「조성원문」 1매, 「중수원문」 1매, 후령통 1개, 분철된 『묘법연화경』2매이다. 「조성원문」과 「중수원문」을 통해 이 보살좌상의 존명은 관음보살 이며, 1670년에 조성되어 1733년에 진관사로 이운된 것을 알려주며, 불상을 조성 했던 조각승은 승호를 포함한 5명임을 알려준다. 조각승 승호는 17세기 후반부터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대표적인 조각승으로 이 관음보살좌상의 조성은 현재까지 밝혀진 승호의 가장 이른 기년명 작품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발견된 이운 기록이 흥미로운 점은 불상의 조성과 이운을 통해 당시 18세기 조선 후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이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임진왜 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그 전란의 복구 과정에서 증명된 승려집단의 조직력은 조 선의 왕실과 사대부층이 불교에 대한 우호적인 시선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 다. 이를 통해 승군을 중심으로 서울과 지방 주요 거점 지역에 대한 방위 체제를 정비하게 되었으며, 그 방비 체제의 핵심이 1710-1711년 북한산성의 축성으로 귀 결된다. 그리고 북한산성의 방비 및 산성의 유지를 위해 10여개의 사찰들을 새롭게 중창 되게 된다. 북한산성의 축성은 그 주변 일대 진관사와 도선사등 사찰들이 중창되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고, 승영사찰과 산성 아래 사찰들에 봉안되기 위 한 다수의 불상들이 이운된 것이 현재까지 공개된 조성원문을 통해 확인된다. 이번 연구는 서울, 특히 강북일대 사찰들에 봉안된 조선 후기 불상들의 이운배 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성북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은평구 등에 봉안되어 있는 대부분의 불상들은 승영사찰의 축성으로 이운된 불상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의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연구가 승려장인의 작가론에 입각한 논의에 머 물렀다면, 이번 연구는 불상 이운의 사회적·역사적 배경에 대한 해석을 시도했 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승호 작 관음보살좌상과 조성 및 중수원문
  1. 도선사 관음보살좌상과 조각승 승호
  2. 원문을 통해 본 원봉안처와 재봉안처
 Ⅲ. 18세기 중반 진관사의 중창과 북한산성 승영사찰
 Ⅳ. 서울지역 불상의 이운 성행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태건 Jo, Tae-Gun. 불교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