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국내외 뮤지컬 전공학과 내 무용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한 안무교육의 필요성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horeography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ance Curriculums in Music Departments in South Korea and Abroad

전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horeography education as part of musical dance education in music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outh Korea to spread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creative choreography education to expedite the revitalization of the inclusive functions of dance in musical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not only the theoretical dance classes but also advanced practical dance courses (tap, jazz, ballet, and modern dance) necessary for musical education are offered in a systemized way. Furthermore, other courses give students who have taken the practical courses the opportunity to produce their own works through creative choreography. All of these courses enable students to exert their creativity. Similarly, many creative dance courses are offered in France along with theoretical courses, although few professional dance techniques are taught in musical dance classes in professional arts schools specializing in theater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who take creative dance courses are given a lot of time to produce their own work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Indeed, they are educated to be fully aware of the roles of dance in works. In musical dance classes in South Korean colleges, however, there are generally no further attempt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ance in the repertoires of existing musical works. Indeed, current musical choreography education is neither systematic nor professional enough to teach students to come up with creative, inclusive ideas through experiencing a wide variety of dance genres. Fundamentally, the curriculums of the musical departments aim to nurtur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musical production;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and strengthened in these curriculums to foster actors who are skilled at acting, singing, and dancing. In addition, more cooperative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oduce work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In this way, competent human resources will develop into musical directors or producers who are aware that choreography is no longer a supplementary part of musical education but should rather be developed along with acting and music. As this sort of education is expected to nurture capable choreographers who can create choreography with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drama,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seems to be mandatory for a musical curriculum.

한국어

본 연구는 미국, 프랑스, 한국의 뮤지컬 전공 학과 내의 뮤지컬 무용 교육 안에서의 안무 교육 실태 분석을 통해 뮤지컬 안에서 무용의 통합적인 역할 기능 활성화를 위해 창의적인 안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하는데 목적을 갖으며 기존의 미국 위주의 뮤지컬 자료에 한정 되어있던 자료들을 프랑스 뮤지컬 학교에서의 무용 교육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프랑스 뮤지컬 안무 연구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초기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미국의 경우 무용 이론 수업과 더불어 체계적으로 뮤지컬에 필요한 무용 실기 수업(탭, 재즈, 발레, 현대무용)이 고급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실기를 바탕으로 창작 안무를 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들도 진행을 하고 있어 학생들의 창의력 발휘에 큰 도움을 주고 있었다. 프랑스의 경우도 연극 전문 예술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뮤지컬 무용 수업은 미국에 비해 전문 무용 테크닉 수업은 많지 않지만 무용 이론 수업과 함께 창작 무용 수업을 많이 시행하고 있었으며, 창작무용 수업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와의 협업작업으로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에 많은 시간이 할애되고 있어 작품 안에서의 무용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할 수 있는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의 뮤지컬 전공을 하는 대학에서의 교과 내 무용 교육은 대체로 뮤지컬 무용 수업이 기존의 뮤지컬 작품 내의 레퍼토리 무용을 경험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진행이 되고 있어 다양한 무용 장르의 체계적인 무용 수업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생각을 발현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뮤지컬 안무에 대한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뮤지컬 제작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배출해 내고 있는 뮤지컬 전문 대학교육 교과정안에서의 무용 안무 수업은 연기, 노래, 춤 실력을 골고루 갖춘 배우를 양성함과 더불어 다른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창작 작품제작 기회를 자주 갖는 연계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는 뮤지컬 안무 통합 교육의 보강이 이루어져 장차 뮤지컬 연출가나 제작자가 될 인재들에게 뮤지컬에서 안무가 보조가 아닌 연기, 음악과 더불어 주체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보편적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무용 안무 교육을 통해 극을 이해하고 안무를 창작 할 수 있는 안무가 배출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무용 안무 교육은 뮤지컬 교육과정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미국과 프랑스 내 뮤지컬 전공학과의 무용교육 현황
  1. 미국 내 뮤지컬 전공학과의 무용교육
  2. 프랑스 내 뮤지컬 전공학과의 무용교육
 Ⅲ. 한국 내 뮤지컬 전공학과의 무용교육 현황
  1. 2~3년제 대학 뮤지컬과 내의 무용 교육
  2. 4년제 대학 뮤지컬과 내의 무용 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유정 Chon, Yuchong. 극단 「VIVANT」대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