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순종 탄신 오순 경축연의 시대적 의미 조명

순종 탄신 오순 만찬연의 무동정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dong Jungjae Dances Performed at the 50th Birthday Banquet of King Soonjong

이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contents, and choreographic style of the Mudong (舞童) Jungjae (呈才) performed at the 50th birthday banquet of King Soonjong, the last emperor of the Korean Empire. Gainjeonmokdan (佳人剪牧丹), Jangsaengboyeonjimu (長生寶宴之舞), Yeonbaekbokjjimu (演百福之舞), Mugo (舞鼓), Pogurak (抛毬樂), Bosangmu (寶相舞), Suyeonjang (壽延長), Chunaengjeon (春鶯囀), and Cheoyongmu (處容舞) were performed at the banquet held on March 25, 1923, on King Soonjong’s birthday. Among them, Cheoyongmu was excluded from this study, as it was separately studied and performed by Aaksu (雅樂手) and five physically fit Aakseng (雅樂生) students from the first-year class of the Aakdae training school. Thus, this study examines eight Jungjae dances that were performed by Aakseng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Mudong. The Korean Empire was colonized by Japan on August 29, 1910; following this, King Soonjong’s daily life was restricted through the control of Iwangjik (李王職), or the Office of the Yi Dynasty. This study examines Jungjae dances that were studied and performed by 11 Aakseng (雅樂生) Mudong; these were hastily put together for the 50th birthday of King Soonjong. Aakseng boys aged 13~19 years, who joined the Aakdae (雅樂隊) training school as the first-year and second-year class in the early winter of 1922. were abruptly enlisted to learn Jungjae dances. After five months, they performed for the king. This launched the dancing careers as Mudong for Aakseng students at the Aakdae training school within Iwangjik. The dances performed at the 50th birthday banquet of King Soonjong were mostly createdin 1828 and 1829. The story of these Jungjae dances included ① the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② a wish for the longevity and prosperity of the country. In addition, they comprised ③ entertaining elements that combined a wish for longevity with amusement, completing the broad variety of the dance. By the 2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or the Imjin year of 1892, and following their performance at the 41st birthday banquet of King Gojong, the number of dancers for the Mudong Jungjae performance was finalized. The choreographic styles of the eight dances are discussed in greater detail below. The Mudong Jungjae of the Joseon Dynasty is said to have been passed down with great difficulty under political and cultural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study, we propose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proper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dissemination of traditional danc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ir backgroun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의 탄신 오순(五旬: 50세) 경축연에 공연된 무동(舞童) 정재(呈才)의 출범 배경과 해당 정재의 내용 및 춤구성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순종의 양력 생일인 1923년 3월 25일 만찬(晩餐) 때에 공연된 춤은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무고(舞鼓)>, <포구락(抛毬樂)>, <보상무(寶相舞)>, <수연장(壽延長)>, <춘앵전(春鶯囀)> 그리고 <처용무(處容舞)>이다. 이중 <처용무>는 아악수(雅樂手)와 1기 아악생(雅樂生) 중 신체적 조건을 건장하게 갖춘 5인이 따로 학습하고 공연하였으므로, 본 연구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무동으로 선발된 아악생이 공연한 정재 8종목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일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고, 이후 이왕직(李王職) 관제 하에서 순종의 생활은 제한되었다. 그러한 순종의 50세 생신을 맞아서 급하게 마련된 아악생(雅樂生) 무동 11명에게 학습된 춤(정재)에 대해 이해하려는 연구이다. 1922년 초겨울 아악대(雅樂隊) 양성소(養成所)에 입소한 아악생 1, 2기 중 선발․동원된 13~19세의 남자 아이들은 얼떨결에 정재를 학습하게 되었고, 5개월 만에 공연까지 완수하였다. 이로써 이왕직아악대 양성소 아악생은 무동으로의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순종의 50세 생일에 공연된 춤은 주로 1828년과 1829년에 창제(創製)된 것이 사용되었다. 정재의 내용은 ① 부부의 사랑, ② 수명장수 및 국가 태평을 중심 내용으로 한 것들이다. 그리고 수명장수를 기원하면서도 오락성을 본바탕에 갖고 있는 ③ 유희적 정재가 고르게 준비되어 공연에 올려졌다. 8종목 무동정재의 공연 참여 인원이 일정하게 정비된 시기는 고종 29년(임진, 1892)으로, 고종의 41세 탄신 경축연 때 사용되면서였다. 그 밖에 8종목 춤구성에 대해 본문에서 상세히 논의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정치적․문화적 탄압 속에서 어렵게 전승된 조선시대의 무동정재라고들 한다. 그러나 그 출범 배경 등을 고려하여 바른 역사관을 세우고 계승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왕직아악대 무동 정재의 내용 이해
  1.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2.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3.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4. 무고(舞鼓)
  5. 포구락(抛毬樂)
  6. 보상무(寶相舞)
  7. 수연장(壽延長)
  8. 춘앵전(春鶯囀)
 Ⅲ. 무동정재 8종목의 연원 및 출연 인원
 Ⅳ. 무동정재 8종목의 춤 양식 구성
  1. 춤의 주요 대형
  2. 춤의 대형과 반주음악 전개
  3. 춤 대형과 반주음악 전개의 특징
 Ⅴ. 순종 오순 만찬연의 여흥 무동정재 복원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숙 Lee, Jongsook. 한국전통악무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