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순종 탄신 오순 경축연의 시대적 의미 조명

융희황제 재위 시 황실의례의 정치적 의미와 오순탄신 거동

원문정보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Royal Rites and the 50th Birthday Party in the Reign of Yunghee Emperor

나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Japanese colonialists, scholars, and common Koreans influenced by and educat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Kwangmoo and Yunghee Emperor were powerless, impotent monarchs in the face of the Japanese forces. This kind of estimation corresponds exactly to that of the Daehan Empire under Japanese colonialism, which intentionally negated the positive role of these two emperors. However, we have to reconsider and re-evaluate this estimation. We can pose two political statuses, namely those of an “instrument of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Instrument) and a “symbol of anti-colonial resistance” (Symbol). Yunghee Emperor became a new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under the Japanese in the era of the Residency-General, and played the role of Instrument to his death by the Japanese powers, who tried to use this emperor and the Royal Chamber itself. Paradoxically, and regardless of the Japanese intention, Yunghee also played the role of Symbol to oppressed common Koreans. We can confirm this role in the Royal South Tour and the Royal West Tour in 1907, as well as the Royal Tomb Tour in 1917. In the Royal Dance and Music for his 50th Birthday Party, the Instrumental meaning was greater than the Symbolic meaning du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s ability to distort these two art forms. It is a general estimation that Yunghee’s political status was that of an Instrument rather than a Symbol in the eras of both the Residency-General and the Government General. The Instrument status is practical, positive, and general, whereas the Symbol status is symbolic, negative, and partial. To the Japanese colonialists, Yunghee was an Instrument, and his status as a Symbol was permitted to a limited extent for common Koreans. However, we can deepen this Symbolic role through the further research.

한국어

기존의 역사인식에서 광무황제와 융희황제는 일제의 강압 앞에서 무기력한 군주였고, 이러한 이미지는 일제 식민사관의 대한제국 인식과 일치한다. 일제 식민사관은 대한제국의 군주들 속에서 나라와 백성을 위한 긍정적인 역할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제는 대한제국기 광무황제는 물론 광무황제의 강제 퇴위 이후 융희황제 모두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융희황제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기존의 역사인식을 바꿀 수 있다. 융희황제에 대한 재평가는 긍정적인 역할의 가능성을 찾는 작업이다. 융희황제의 정치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즉 ‘통치도구(統治道具 Instrument of Japanese colonial domination)’로서의 존재 그리고 ‘저항상징(抵抗象徵 Symbol of anti-colonial resistance)’로 나눌 수 있다. 융희황제는 통감부시기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의 황제가 되며, 서거 때까지 황제의 존재 자체를 통치의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던 일제의 통치도구가 된다. 그러나 융희황제는 일제에 의해 억압받고 위축되어 있는 대한제국 국민의 일제에 대한 저항상징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융희황제 뿐 아니라 융희황제가 설행한 황실의례의 정치적 의미는 대부분 ‘통치도구’였다. 하지만 ‘저항상징’의 의미도 있다. 1907년 즉위부터 1910년 한일병합조약까지의 통감부 시기에서 남순행과 서순행을 통하여, 또한 1910년부터 서거 해인 1926년까지의 총독부 시기에서 함흥능행을 통하여 저항상징의 의미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오순탄신의 아악과 무동정재에서는 일제에 의한 왜곡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주로 통치도구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융희황제가 행한 황실의례는 일제의 침략이 조직화되고 노골화되던 통감부 시기와 한국을 완전히 합병해버린 총독부시기에 이루어졌으므로, 융희황제의 정치적 의미는 저항상징 보다는 통치도구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통치도구라는 의미가 실질적, 적극적, 전체적이었던 반면, 저항상징이라는 의미는 상징적, 소극적, 부분적이었다. 일제에게 융희황제는 통치도구였고, 저항상징은 제한적으로 허용되었으며 한국인에게 융희황제는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저항상징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저항상징의 의미를 다양한 자료를 이용한 심층 연구를 통하여 더욱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융희황제의 재평가
 Ⅲ. 융희황제 재위 시 황실의례의 정치적 의미
 Ⅳ. 오순탄신(五旬誕辰): 관아악무동정재(觀雅樂舞童呈才)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나정원 Nah, Jeongwon.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