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사운드 시간성과 시간성 표현의 물리적 속성

원문정보

Temporality of Film Sound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mporality Expression

오호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lm sound concepts as theorized by film researchers such as Chion, Altman and Pudovkin refer to sound that is not only placed as a dependent element but that also functions as independent or complementary assista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hysical forms of sound appearing in sound design, rearranged by a human imaginative idea applied as part of Chion’s time temporality concept in visual zones on screen, invisible zones, and in acousmatic zone in off-screen areas. This analysis stems from curiosity about why dialog taking first priority of a human cognition layer as one sound forms at the beginning. What are the formal attributes of film sound? This research also categorizes sound forms and analyzes linearized time elements, ambience, room tones, noise forms, sound effects referring to the concept of 'synchrese', sound distance and space sense, and sound mastering balance. These film sound forms are heard by controlling recognized reality selectively. Thus, sound time temporality and its elements have categorical physical sound levels to undertake the functions of sound form allow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film narrativ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mmercial films and in terms of their sound design to find the applicable expression model of the physical sound level and how it accomplishes sound time temporality functions.

한국어

시옹(Chion), 알트만(Altman), 푸도프킨(Pudovkin)과 등과 같은 영화이론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어온 영화에서의 사운드 개념은 사운드가 종속적인 객체로서만 위치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역할과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영화의 가시화 영역인 온 스크린영역과 순간적으로 이동되는 비화면 영역이라는 비가시 경로 그리고 인식된 현실로 갈 수 있는 어쿠스마틱 영역인 오프 스크린 영역에 시옹의 시간성을 적용해, 인간의 상상으로 재구성하는 사운드 디자인에 대한 형태 분석을 진행하였다. 영화의 청각표현에 해당하는 대사는 인식 층위의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그러한 사운드 형태의 물리적 속성 값은 존재하는가라는 궁금증으로 시작해 시간의 연속선상에 있는 앰비언스, 룸 톤, 잡음을 비롯해 싱크레즈를 나타내는 사운드 효과 그리고 온 스크린을 통해 보이는 사운드의 거리감과 공간감, 마스터링을 통한 음의 균형 값들을 영화 속 사운드 구성요소로 분류해보았다. 이러한 영화 사운드 형태는 각각 인식된 현실이라는 선택적 조정을 통해 들려지는데, 이와 같이 사운드의 시간성과 그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내러티브의 이해와 몰입이라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운드 형태별 물리적 음량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사운드 시간성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음량 값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상업영화 <이끼>, <인셉션> 사운드 디자인의 구성요소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머리말
  1.1 보완적 주체로서의 사운드 연구
  1.2 사운드 시간성과 청각표현 요소와의 연계
 2. 사운드 디자인의 기술적 표현 : 인식된 현실
 3. 사운드 영역과 구성요소 물리적 속성
  3.1 시간화 효과를 구성하는 사운드 형태
  3.2 사운드 형태 표현의 기능과 요소
 4. 사운드 시간성 기능과 영화 사운드 표현사례
  4.1 <이끼>와 <인셉션> 시간성 기능과 표현의 물리적 속성분석
  4.2 <이끼>와 <인셉션> 사운드 시간성 구성형태별 음량 값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호준 Oh, Ho Jun. 강원대학교 디자인스포츠대학 연극영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