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King Jeongjo, who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nd visionary rulers of the Joseon Dynasty, is also well-known for his philomathy and love of literature. He devoted himself to reading large collection of books out of state affairs, and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lacking of reading social atmosphere. 『Sabusugwon(四部手圈)』 was developed under this circumstance and was extracted by Jeongjo himself form the books he had read since he was the crown prince. It is composed of four parts, including Gyeong(經, confucian classics), Sa(史, history), Ja(子, philosophy), Jip(集, literature). And as a part of 『Sabusugwon』, 『Palgasugwon(八家手圈)』 contents excerpts of essays written by eight great essayists in Tang Song dynasty. Jeongjo used Maokun(茅坤)'s 『The Prose Selections of Eight Great Essayists in Tang Song Dynasty(唐宋八大家文鈔)』 as original text and considered it would be helpful to write decent articles. The selections of Eight Great Essayists in Tang Song Dynasty was not only wildly-spreading in China but also attached great popularity in Japan. Compared to the situation in Joseon, in Japan Shen Deqian(沈德潛)'s 『Textbook of Eight Great Essayists in Tang Song Dynasty(唐宋八家文讀本)』 produced more lasting influence than Mao Kun's book.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Palgasugwon』 is that its passages were extracted by Jeongjo according to his own preferences, and thus it indicated his literary idea. According to the ‘Project Schedule(課程日表)’ at the frontispiece of 『Palgasugwon』, the book was carried out in four stages as “Mark(批)”, “Circle(圈)”, “Select(選)”, “Revise(校)”. Due to the limited space, some essay's structure was inevitably truncated. The reason for Jeongjo's giving a high appraisal to Han Yu was that he agreed with Han's view of “writing is for conveying truth” and “respect Confucianism and defeat Buddhism”. Han Yu's essay is considered to be powerful and vigorous by many critics of every dynasty, one important reason is that it employed a lot of Parallelism which enhance the tones and emotions. In Jeongjo's excerpts, this characteristic is well-preserved.
한국어
이 글은 正祖가 選集한 『八家手圈』의 選本上에 있어서의 특징과 『八家手圈』에서 韓愈文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핀 논문이다. 먼저 중국과 일본에서 唐宋八大家文이 選集되던 상황과 『唐宋八大家文鈔』가 再選되던 상황에 대해 고찰했다. 『八家手圈』의 저본이 된 茅坤의 『唐宋八大家文鈔』가 중국에서 再選集되고 중국은 물론 일본과 조선에서 다양한 唐宋八大家文 選集들이 등장하게 된 일련의 과정에 대해 점검했다. 중국에서는 『唐宋八大家文鈔』가 나온 뒤에 분량이 방대해 읽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이를 저본으로 삼은 再選集도 등장했는데 이런 再選集의 분위기가 正祖로 하여금 『팔자백선』을 만들게 했던 한 동인이 되었다.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어떤 당송팔대가문 선집들과 매우 다르게 『八家手圈』은 節錄이란 편집 방법의 형태로 만들어졌는데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四部手圈』의 편집 방법이 절록의 형태를 띠었기 때문이고 『八家手圈』은 그 일부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팔가수권』은 ‘批’, ‘圈’, ‘選’, ‘校’ 등 네 단계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그 選集 목적은 부진한 세상을 격려하고 글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해 짧은 문장으로 간단명료하게 八大家文의 진미를 알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책을 만드는 데 있었다. 『팔가수권』의 특징은 節錄의 방법으로 편집하고 있다는 점이다. 正祖가 韓愈文을 선호했던 가장 큰 이유는 한유의 문이재도 문학관과 獨尊儒術의 유교사상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조가 『팔가수권』에서 한유문을 뽑아 절록할 때 書牘과 贈序에 비중을 두었는데 그 이유는 본래 한유문은 書牘과 贈序가 많은 까닭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한유문에 드러난 절록 방법상의 특징은 첫째로 문장 안에서 부사절이나 접속사 등을 대거 삭제하는 방법을 통해 인물이 처한 특정한 상황이나 수사적 언어를 일반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원래 문장이 지니는 의미에서 벗어나는 좋지 못한 결과를 낳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두 번째 특징은 『팔가수권』에서 뽑고 있는 한유문 가운데 길고 화려한 排比句를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한유문이 지닌 특성을 잘 살리는 효과를 얻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에서의 唐宋八大家文 選集의 유행과 그 문헌
3. 『팔가수권』의 편집상의 특징과 편찬 목적
4. 『八家手圈』에서 韓愈文 의 수용 양상과 그의미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