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2 : 조선 류큐 문화교류 600년-2

횡단하는 아리랑 - 일본의 아리랑 유입과 오키나와 아리랑

원문정보

Crossing Arirang - An inflow of Arirang into Japan and Arinag in Okinawa -

박애경, 이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ize the origin of Arirang culture in Okinawa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song Arirang was shown on a songbook "Aechanggajib (Book of Favorite songs)" in 1971 and the monument of Arirang constructed in Miyakojima((宮古島).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tried to pursue the route of inflow into Japan and explain the diversity in the acceptance process. "Aechanggajib", that was printed twice in 1960 and 1971, was songbook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life-song movement in Okinawa aw well as the historical record to reveal the real fact of suppression of the media and publication. And the monument of Arirang for remembering and cherishing Comfort women couldn't return to homeland and died in Okinawa, was remained in Miyakojima. The monument of Arirang that was started by Yonaha Hirotoshi, resident in Okinawa, has become the the opposing symbol of wishing the peace and opposing.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potential and diversity of song Arirang has been being placed in the base of Arirang culture in Okinawa. To enquire into this possibility, this study also inspects the route and the direction of Arirang to inflow to japan. The inflow of Arirang to Japan was naturally advanced with the immigration and the settlement of Korean into Japan. Third page of Upyunjiphisinmoon (郵便執知新聞, the paper of the postal service) on may 31th in 1894 introduced Arirang as popular song of Joseon(朝鮮の流行謠).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racticians of record industry who realized popularity of Arirang, published Arirang songs sung by Korean actresses and singers including Kim Yonsil, Chae Gyuyeop, Yi Nanyoung. Not only Korean singers but also Japanese singers such as Kobayashi Chioko, Sugiwara Suzuko obtained Arirang, the fact that Arirang was accepted as the kind of Enka was also. Like these, Arirang in Japan has been sung continuously and changed several roles from the song in Diaspora to the attractive and exotic cultural product and the resisting and cooperating song to oppose war and wish peace. This study inspects historicity and nowness by analyzing the contemporaneously crossing trace of Arirang's diverse aspect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1971년 沖繩縣敎職員組合에서 발간한 『애창가집』에 실린 <아리랑>과 오키나 미야코지마(宮古島)에 남아있는 ‘아리랑비’에 주목하여, 오키나와에 남아있는 아리랑 문화의 원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 내 아리랑이 전승된 과정을 추적하고, 그 다층성과 편차를 해명하고자 한다. 1960년, 1971년 두 차례 발간된 『애창가집』은 오키나와 내 생활노래운동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노래집인 동시에, 미군정 하 오키나와 지역에 행해진 언론, 출판탄압의 실상을 확인하는 사료이기도 하다. 그리고 오키나와 미야코지마(宮古島)에는 종군위안부로 끌려갔다가 모국 땅을 밟지 못하고 오키나와에서 생을 마감한 조선인 여성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기념비인 ‘아리랑비’가 남아 있다. 미야코지마 주민 요나하 히로토시의 개인 추모사업에서 시작된 ‘아리랑비’는 평화를 염원하고, 여성의 성노예화를 비판하는 연대의 상징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키나와 아리랑문화의 저변에는 노래 <아리랑>이 가진 원천적 힘과 다양성이 자리잡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리랑이 일본으로 유입하게 된 경로와 방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으로의 아리랑 유입은 조선인의 이주와 일본 내 정착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1894년 5월 31일자 『郵便執知新聞』 3면에는 ‘朝鮮の流行謠’로 <아리랑>을 소개하고 있다. 일제통치기에는 아리랑의 인기를 파악한 레코드 산업자들이 김연실, 채규엽, 이난영와 같은 조선의 배우나 가수가 부른 아리랑을 발매하기도 하였다. 조선에서 건너 간 가수 뿐 아니라 일본 내 엔카 가수인 고바야시 치오코나 스기와라 스즈코도 아리랑을 취입하여, 아리랑이 엔카의 한 부류로 수용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일본 내 아리랑은 디아스포라의 노래, 매력적인 이국의 문화상품,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염원하는 저항과 연대의 노래로 그 역할을 바꿔가며 꾸준히 불리고 있다. 이 발표에서는 <아리랑>의 다양한 면모가 ‘동시대적’으로 횡단하는 모습을 통해 아리랑이 가진 역사성과 현재성을 동시에 다시 한 번 확인하려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가 되기까지
 3. 아리랑의 일본 내 유입과 그 경로
 4. 아리랑을 바라보는 일본 내 시선
 5. 오키나와의 아리랑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애경 Park, Ae-kyung. 연세대학교
  • 이민규 Lee, Min-gyu.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