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기초수학 수업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 Communication Utilizing Smartphones on Basic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Tertiary Level

홍예윤, 임연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al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martphones and immediate feedback through S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ic mathematical 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ertiary level. Researchers analyzed the test results of 214 students'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 in 4 classes consisted of 16 weeks' classes with two hours per week. Also their 30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 reveals that classes using smartphones promoted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induced students' motivation and affirmative re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an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will support dynamic visualiz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its interpretation, which enabl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deeper understanding.

한국어

본 연구는 G대학에서 214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네 강좌로 나누어 일주일에 2시간씩 16주 동안 대학기초 수학을 수업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주얼 교육이 수학의 기본 개념 이해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SNS를 통한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학도구의 활용에 관하여 수업 전 사전테스트와 수업 후 사후테스트를 통해 총 30문항의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업 중의 학습자의 수학개념에 대한 이해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기존 의 지필 풀이에만 의존했던 방식과 달리 공학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인 이해 방법으로 그래프와 수학의 개념적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학습자의 개념적인 전이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공학도구의 사용이 개념의 이 해를 더 쉽도록 지원하였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유발과 긍정적 태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성과를 얻게 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수학교육과 테크놀로지의 활용
  2.2 인지부하이론과 공학도구 활용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도구
  3.3 연구절차
 4. 연구결과
  4.1 사전테스트 결과
  4.2 사후테스트 결과
  4.3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의 이해 과정
  4.4 중간 및 기말고사 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저자정보

  • 홍예윤 Ye-Yoon Hong. 이화여자대학교
  • 임연욱 Yeon-Wook Im. 한양사이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