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ing Communication Courses to Enhance Undergraduates' Core Competence

김효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s well as the trend of becoming information society where all different cultures become convergent, communication competence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universities are making efforts to open and operate a related curriculum regarding communication competence as the most needed core competence in cultivating competitive men of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courses and detailed contents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courses to enhance undergraduates' core competence.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subjects include the course outline, objectives, manner of lecturing, evaluation, weekly learning topics,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contents, and so on. This study will lay the ground for cultivating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skills effectively and improving their core competence further to lead their college life sound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Also, this study will form a field of cultivating competent persons who can create social value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s the most emphasized as core competence that the members of universities or societies should be equipped with.

한국어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화 간 융합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화 흐름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중요성 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에 있어 꼭 필요한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설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 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과정과 구체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과 목에 관한 콘텐츠에는 강의개요, 강의목표, 강의방법, 성적 평가방법, 주차별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 등이 포 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하 여 대학생활을 하는데 있어 핵심역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및 사회 에서 갖추어야 할 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통해 사 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의 장을 마련해 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커뮤니케이션 역량
  2.2 역량기반 교육과정
 3. 교과목 콘텐츠 개발
  3.1 학습자 연구
  3.2 직무 및 과제분석
 4. 설계
  4.1 학습목표 명세화
  4.2 평가도구 설계
  4.3 수업운영 방법 수립
  4.4 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계열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효진 Hyo-Jin Kim.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