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ss the cultura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health of women and families a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bout the impact of social adaptability. Survey for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one months from March 17, 2015 until April 20,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ess wa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women's empowerment and socio-cultural adaptability. Second, the Multicultural Women and Family Health castle was analyz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empowerment and social adaptability. Third, the empowerment of multicultural women showed that acculturation stress and health of family life in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social adaptabilit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n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multicultural women's family health and empowerment, which shows the need for political and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multicultural wome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17일부터 2015년 4월 20일까지 약 1달간 소요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응력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여성의 가족건강성은 임파워먼트와 사회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는 문 화적응스트레스와 가정생활건강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유의미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여성의 가정생활건강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임파워먼트 역할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여성에 대한 정책적이며 실천적인 방안의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정착에 따른 문제의 제기
2. 가족건강성에 관하여
3. 다문화여성과 문화적응스트레스
4.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측정도구 및 설문의 구성
4.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3. 가설의 검증
Ⅴ.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