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맹자의 사상적 대결과 유학의 정통성 확립

원문정보

Confucianism’s Legitimacy on the Ground of Mencius -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Mencius and his Contemporaries -

강봉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ncius(孟子)’s priority was to secure confucianism’s legitimacy that came from the Emperor Yao-Shun(堯舜) to Confucius. Purity of confucianism can be kept by warding off and excluding heresy. That’s why Mencius had to fiercely argue against scholars and philosophers of his time. He argued with Gao Zi(告子) over human nature and set up his own theory: man is born with innate seeds to do good. Gao Zi argued that human nature makes no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bad just as water and human morality is cultiv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However, Mencius thought that Gaozi’s perspective drops ontological status of human being into the bottomless pit. Mencius’s theory confronted that of Yang Zi(楊子) and Mo Zi(墨子). Mencius stressed harmony and balance between Yang Zi’s individualism and Mo Zi’s communalism, morality of humanity and justice and principle of Qin Qin(親親; to maintain good relations with those who are related to oneself like parents first, and then to widen human relations). Xu Xing(許行) claimed each person should live their life by farming. Mencius criticized Xu’s Shen Nong (神農), stressing the division of labor. Mencius tried to realize the benevolent government standing against Guan Zhong(管仲)’s rule by force. He believed that the rule by force falsely borrows benevolence even if it likely cares for the people. Benevolent government is based on “Bu Ren Zhi Xin(不忍之心)”: all humans have by nature a compassion for others and will not see them suffering. Mencius considered these as confucianism``s legitimacy that came from the Emperor Yao-Shun to Confucius.

한국어

맹자의 철학적 과제는 요순으로부터 공자로 이어져온 유학의 정통(正統)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정통의 순결성은 이단(異端)의 유입을 막고 배척함으로써 지켜낼 수 있다. 그래서 맹자는 제가 학설과의 논쟁과 대결을 치열하게 벌일 수밖에 없었다. 그는 고자(告子)와의 철학적 논쟁을 벌이면서 성선설을 입론하였다. 고자는 성무선무악설을 주장하며 도덕성은 외부로부터 내면화되는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맹자는 이러한 고자의 관점이 인간의 존재론적 위상을 나락으로 이끈다고 여겼다. 맹자는 양자·묵자의 학설과 사상적 대결을 벌였다. 그는 양자의 개체주의와 묵자의 공동체주의 간의 긴장된 조화와 균형을 주장하면서, 인의(仁義)의 윤리학과 친친(親親)의 원리를 주장하였다. 또한 맹자는 공동체의 구성원은 누구나 농업의 경작과 생산에 참여해야 한다는 허행의 신농(神農)사상과 논쟁하면서 사회적 분업과 역할윤리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관중의 패도정치에 맞서인정(仁政)에 토대한 왕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패도정치가 백성을 위할지라도 그것은 힘에 의한 정치이고 가짜로 인(仁)을 빌린 것에 불과하다. 왕도정치는 ‘차마하지 못하는 마음’을 미루어 ‘차마하지 못하는 정치’를 하는 것이다. 맹자는 이상(以上)이 요순으로부터 공자로 이어져온유학의 정통사상이라고 여겼다. 이렇게 정립된 유학의 정통은 한당유학의 혼란기를 거쳐 송명시대의 정주학으로 이어지면서 정통유학사상으로 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고자와의 사상적 논쟁과 맹자유학
  1. 맹자와 고자의 인성론 논쟁
  2. 맹자의 고자 수양론 비판
 Ⅲ. 양자 및 묵자와의 사상적 대결과 맹자유학
  1. 양자와 묵자의 사상적 도전
  2. 맹자의 양자ㆍ묵자사상의 비판
 Ⅳ. 허행 및 관중과의 사상적 대결과 맹자유학
  1. 맹자와 허행의 신농(神農)사상 논쟁
  2. 맹자와 관중의 왕도와 패도의 대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봉수 Kang, Bong-Soo.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