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실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인간학적ㆍ도덕적 공간의 관점에서 -

원문정보

Designing for Classroom Space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Anthropological and Moral Space

김은수, 변순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anwhile, space and design problems in moral education was not receiving much interest. However, the problem of space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and the relationship of classroom, school and students to learn, to live within establish inevitably relationship. Recently it emphasized the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rough a multifaceted approach it can springing up their attemp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is point it is meaningful to contemplated that spatial issue of classroom in which students are learning and living. So in this paper I try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classroom space in today``s elementary school and to search for orienteering of designing for the better classroom space.

한국어

그동안 도덕과 교육에서 공간과 디자인 문제는 그다지 관심을 받는 영역은 아니었다. 그러나 공간의 문제가 인간의 삶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교실과 학교 그리고 그 안에서 학습하고 생활하는 학생의 관계는 필연적인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다. 최근 들어 인성교육의 기조가 강조되면서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들이 생겨나고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실의 공간적 문제를 되짚어 보는 것은 의미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언제부터인가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학교폭력, 교실붕괴 등과 같은 현상을 단지 교육 내용과 제한된 실행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교실공간의 문제와 연관지어 해결책을 모색해본다면 그것의 예방과 근절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 교실공간의 문제를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인간학적ㆍ도덕적 측면에서 더 나은 교실공간 구성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학교와 교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Ⅲ. 기계로서의 학교와 교실 그리고 그 인간학적 의미
 Ⅳ. 인간적ㆍ도덕적 초등교실의 구성을 향하여
  1. 당위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2. 심미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3. 다양한 활동을 담아낼 수 있는 규모의 공간으로서의 교실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수 Kim, Eun-Soo.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 변순용 Byun, Sun-Yong.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