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 나르바이스의 초기 도덕교육 모형

원문정보

D. Narvaez’s Early Moral Education Models

박장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models of moral education during the earlier study periods of D. Narvaeaz as a moral education scholar. Narvaez herself divided her earlier study periods into two sub-periods, one as implicit moral rationality study period and another one as school moral education study period. However, the division and labelling are likely to ask which theory and model she actually practise for moral education during those periods. This study found out that Narvaez practised her moral education by way of Rest’s 4-components model, and then developed a alterative character education model which was based on the 4-components model and was for critical thinking and was critical against Aristotle’s character eduction, and which was called as the Deliberate Character Education(DCE) later. Added implicit cognition, schema, virtue ethics, positive psychology etc. to the DCE, Narvaez developed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IEE). However, those components had not a foundation which could unite themselves as a coherent system. This needed her new period to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D. 나르바이스가 도덕교육계 입문 초기부터 신경생물학에 근거한 도덕교육을 모색하기 이전까지 설정한 도덕교육 모형을 탐구한다. 그녀는 자신의 초기 연구시기를 암묵적 도덕 합리성 연구시기와 학교도덕교육의 연구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초기부터 4-구성요소 모형을 도덕교육 프로그램 실행 준거 틀과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녀는 학교도덕교육연구에서 기존의 인격교육을 비판하는 대안적인 인격교육을 4-구성요소 모형과 결합하여 제안한다. 그녀는 이것을 다듬어 숙고적 인격교육(Deliberate Character Education: DCE)이라 불렀다. 그의 숙고적 인격교육은 암묵적 지식, 스키마, 덕 윤리, 긍정심리학 등을 통합하여 자신의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IEE)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 모형은 그것들을 통합하여 정당화해주는 이론적 토대를 갖지 못했으며, 새로운 연구시기를 요구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4-구성요소 모형의 개발
  1. 전문직윤리와 4-구성요소
  2. 4-구성요소 모형의 이론적 정당화
 III. 인격교육과 4-구성요소
  1. 소극적 인격교육
  2.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장호 Park, Jang-Ho. 경성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