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국내 석유화학단지 대기 중 존재하는 Benzene의 인체 건강 위해도 평가 시 Unit Risk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according to Unit Risk of Benzene in Petrochemical Complex

노수진, 이정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w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benzene present in the petrochemical complex surrounding area.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was made in for steps that hazard identification, dose-response assessment, exposur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also Monte carlo simulation used in order to reduce the uncertainty about cancer risk of benzene. This study also calculated cancer risk of benzene using for slope factor provided by the EPA. In addition, by using the unit risk range (2.20 × 10−6~ 7.80 × 10−6) in benzene to provide the EPA in terms of slope factor for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were calculated also for cancer risk of benzene. For 95 percentile cancer risk of benzene by minimum and maximum slope factor it were 2.91 × 10−5 and 1.06 × 10−4 in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Minimum and maximum cancer risk of benzene showed 10 times differen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단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벤젠의 인체 건강 위해성 평가 시 Unit Risk 적용에 따른 발암 위해 도를 비교하였다. 인체 건강 위해성 평가는 유해성 확인, 용량-반응 평가, 노출평가, 위해도 결정단계로 이루어졌고, 벤젠 발암 위해도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PA에서 제공 하는 벤젠의 Slope Factor를 이용하여 발암 위해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US EPA에서 제공하는 벤젠의 Unit Risk 범위 (2.20 × 10−6~ 7.80 × 10−6)를 이용하여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Slope Factor를 환산하여 벤젠의 발암 위해도를 산출하 였다. 95 percentile의 평가결과에서 최소 Slope Factor 값에 의한 발암 위해도는 2.91 × 10−5 이었고, 최대 Slope Factor 값 에 의한 발암 위해도는 1.06 × 10−4 으로 10배 정도의 위해도 차이가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인체 건강 위해성 평가
 III. 연구결과 및 고찰
  1. 벤젠의 인체 건강 위해성평가 결과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노수진 SuJin Noh.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이정주 JeongJoo Lee.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