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시집살이 노래> 비평에 대한 철학적 접근 - 효·윤리의식을 매개로 하여 -

원문정보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 criticism of <Patrilocality Songs> - With Intermediation of Filial piety and Ethics -

강동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might say that this article attempted conversion to new viewpoints to the things which have been implicitly agreed upon or repeated as I reflectively consider them. As we all know,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volved 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claimed by patrilocality songs and literary values and status which have been hoped to be granted therefrom. Therefore, the methodological introspection through a certain critical mind is indispensible whether it is from any specific viewpoint or higher one. As a part of such efforts, I was looking for the factors generating biased evaluation in the existing value evaluation from the ethical attitude in External shape of the spirit of filial piety of the doers, and thus I sought methodological exploration focusing on such factors.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nsistent evaluation in the past defined most instances of daily difficulties faced by daughters-in-law, who were the principal players of patrilocality, as suppressed life and implicitly advocated their lamenting of misfortune and desperate condemnation resulting from missing of such principal life. This can be pointed out as the issues overlooked in past as filial piety or ethical attitudes or responsibilities were not investigated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and genre represented by , the extremely popular and realistic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elements in the recognition proces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much of probable justification can be secured before discussing the genre based premise for it is a sensitive issue in relation to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denouncing the unethical sense and attitude of daughters-in-law, the narrators in the stories, with such a critical mind, I investigated by raising the concept of ‘ethical virtue’ of Aristotle, moderation which the extension and ground of such concept, and the problem of lacking self-control opposing thereto. That could be defined through the virtueless life of the doers who did not choose the good side of personality, the base of ethical virtue by losing their capability of exercising rational discretion and deviation from moderation which internally defines the optimal states in human relations. I also contributed to introspection of the filial piety and ethical senses of the doers by complementing the concepts of the said ethical virtues and moderation through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self-control and lacking of self-control and attribution of ethical responsibilities derived therefrom. In the result, the interpretation and ascription of meaning which had to be somewhat blind to what has been agreed in the past need following reconsideration. Just lamenting over patrilocality of daughters-in-law lacking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 or filial piety and ethical sense of community resulting from difficulties in patrilocality, not any grudge or resignation against patrilocality or despair caused by hardship, may belong thereto, and this may be the introspective conclusion at the ethical level.

한국어

본 논문은 그간 암묵적으로 동의하거나 혹은 답습해온 어떠한 것에 대해 반성적 고찰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의 전환을 시도한 글이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시집살이 노래들이 한결같이 표방하는 주제의식과 그로부터 부여받고자 희망하는 문학적 가치와 위상에는 작지 않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특정한 관점이건 그 이상이건 반드시 어떠한 문제의식을 통한 방법론적 성찰은 긴요하다. 그러한 일환으로 논자는 기존가치평가에 있어 불온전한 평가를 생성해 내는 요인을 행위자의 효 정신의 외상(外象)인 윤리적 태도에서 찾았고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모색을 시도했다. 종래의 일관된 평가는 시집살이의 주체인 며느리가 당면한 일상의 어려움에 대해 대개의 경우를 억압받는 삶으로 규정하고 이후 이러한 주체적 삶의 상실이 가져온 신세 한탄 및 절망적 성토를 은연중에 옹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효적 내지 윤리적 차원에서의 태도나 책임에 대해 살피고 검토하지 않은 종래의 간과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물론 <시집살이노래>가 지닌 구비문학적·장르적 특징, 즉 극히 민중적이고 현실적인 특색은 인식과정에 중요한 요건이다. 그러나 그러한 장르적 전제 이전에 상황구성에 있어 얼마만큼의 개연적 정당성이 담보될 수 있는가 역시 따져봐야 함은 그것이 문학평가와 부딪치는 민감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작중화자인 며느리의 비윤리적 의식과 태도를 고발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적 덕’ 개념과 이의 확장이자 근거인 ‘중용’, 그리고 이와 상보되는 ‘자제력 없음’의 문제를 들어 살펴나갔다. 그것은 이성적 분별의 발휘능력을 상실하고 ‘윤리적 덕’의 근간인 성품의 좋음 쪽을 택하지 않은 행위자의 무덕한 삶, 그리고 인간관계에 있어서 최적의 상태를 내적으로 규정지어 주는 중용으로부터의 일탈 등을 통해 규정될 수 있었다. 또한 ‘자제’와 ‘자제력 없음’의 문제, 그리고 그로 인해 파생될 윤리적 책임귀속성과 관련한 논의를 통해 앞선 ‘윤리적 덕’ 및 ‘중용’의 개념과 상보하며 행위자의 효·윤리의식을 성찰하는데 일조했다. 결국 그간 동의되어왔던 바, 다소 맹목적일 수밖에 없었던 해석과 의미부여는 다음과 같은 재고가 필요하다. 시집살이의 한과 체념, 혹은 고초로 인한 절망이 아닌, 시집살이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윤리적 책임과 한계 내지 공동체 효·윤리의식이 부재한 며느리의 시집살이에 대한 탄식 정도가 이에 해당될 것이며, 이는 윤리적 차원에서의 성찰적 결론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公設化 된 가치평가 및 문제제기
 3. 효·윤리의식을 준거로 한 기존평가에 대한 성찰
  1) 『니코마코스 윤리학』방법론 상정배경 및 목적
  2) ‘윤리적 덕’ 그리고 ‘중용’으로부터의 일탈과 상실
  3) ‘자제력 부재’가 불러온 윤리적 한계와 책임
 4. 기존가치평가에 대한 재평가 및 소결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동완 Kang Dong-wan.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