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문묘일무(文廟佾舞)에 내재된 절도(節度)와 교육적 기능

원문정보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Modesty Inherent in Munmyo Ilmu

정향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nmyo-Ilmu (文廟佾舞), the dance which has been danced in Seokjeon-Uirye (釋奠: the rite for laying out offerings) at Sungkyunkwan (成均館) deifying Confucius so far, is distinguished in an aspect of its meaning and value from the dances which are passed down physically through the human body to body. Since Munmyo-Ilmu consists of ritual dancing steps involving the ethic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f Confucian, its formality and structure are very modest, normative and merged densely with ritual and religious characters of cherish memory and worship. In other words, unlike the purpose of common dances, such as the expression of amusement or emotions and the transformation through a new attempt, Munmyo-Ilmu may be considered as a dance aiming mor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origin as ‘order’ and ‘harmony’ penetrating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 or between human beings. While the scholarship dance had been formulated as a d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for the mindset, the martial arts dance for physical training. Munmyo-Ilmu is a dance connecting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each other, expressing gratitude to Confucius and old sages, and sublimating the experiences infused from human life, that is, courtesy and respect among human beings into aesthetic. Sungkyun was the name of school being in charge of music among five colleges of ancient Zhou dynasty, in which educating virtues harmonized with human characters through ‘Akgyo (樂敎music education)’. This Munmyo-Ilmu, which has been danced in Munmyo-Seokjeon-Uirye at Sungkyunkwan, can be considered as ‘the dance of modesty’ being formulated of three passages and four doctrines, which are core contents of Sohak (小學: Confucian disciplinary textbook), underlying Abstract 236 제41호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Munmyo-Ilmu,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yond a ritual dance, creates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society and human being, and human being and human being. Munmyo-Ilmu, as courtesies, can be considered as a communicational dance transcending language, a dance of ‘Susujirye (授受之禮: the exchange of courtesies)’ sharing each other’s mind, and a dance symbolizing ‘peace and harmony’.

한국어

연구는 석전(釋奠)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에 내재된 교육적 기능을 찾아봄으로써 현인들을 위 한 교육수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엿보고자한다. 문묘일무는 현재까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석전 의례에서 추어지고 있는 춤으로서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는 무용과는 그 의미나 가치적인 면에서 차별 화된다. 유가(儒家)의 윤리도덕(倫理道德)과 철학사상을 내포하는 의식적 춤동작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 문에 그 형식과 구조는 매우 절도 있고 규범적이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의례적․종교적(儀禮的․宗 敎的) 성격이 조하게 융합되어 있다. 즉, 유희나 감정의 표현, 새로운 시도를 통한 변화․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무용의 목적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통하는 질서(秩序)와 조화 (造化)라는 보다 교육적인 근원(根源)을 지향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문무는 마음자세를 위한 정신수양의 춤이며, 무무는 신체 단련을 위한 춤으로서 형상화되었다. 문묘 일무는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이어주는 춤이며 공자와 앞서 가신 성현들에 한 감사의 표현이며 인간의 삶에서 우러난 경험 즉 서로간의 예의와 존경심을 미적으로 승화시킨다. ‘성균(成均)’은 고 주(周代)의 5개 학 중 하나로서 ‘악교(樂敎)’를 통하여 덕(德)을 키우는 교육 을 하던 곳이었다. 제사를 지내는 존현(尊賢)과 교육을 통한 양현(養賢)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학궁 의 석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의 기능을 윤리적, 사회적, 예술 교육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묘일무는 윤리적으로 인격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수신서인 소학(小學)의 핵심내용인 삼절(三節)과 사도(四道)를 형상화한 춤으로서 ‘절도(節度)의 춤’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문묘일무는 제사의 의식무 를 넘어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신과 인간, 사회와 인간,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조성한다. 예를 갖추는 행위로서 문묘일무는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의 춤으로 서로간의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수수지례(授受之禮)’의 춤이며 ‘평화(平和)’를 상징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무는 고로부터 문헌에 지속적으로 기록되어온 역사의 춤이며 예악을 기반으로 전통예술을 계승하는 교육적 의미 속에 자신을 발견하는 ‘위기지학’의 춤인 것이다. 문묘일무는 예를 춤으로 실현한 것이며 이는 결국 ‘몸공부’이다. 문묘일무를 ‘몸공부’로 활용하여 춤 을 교육하고 결국엔 자신의 수양과 더불어 덕(德)을 쌓고 소통의 예의 즉 ‘마음의 공부’가 되는 춤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 문묘일무의 교육이 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제한점
 Ⅱ. 문묘일무의 교육적 기능
  1. 문묘일무의 윤리적 기능
  2. 문묘일무의 사회적 기능
  3. 문묘일무의 교육적 기능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향숙 Choung, Hyang Sook. 성균관대학교 유가예술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