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새로운 가치 분류를 위한 시론

원문정보

An Essay for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전예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seeks to provide and examine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Community dance, based on dance education, is an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discovering oneself anew,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physical movement. It also represents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common denominators and restoring of interactions that were cut off b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mmunity dance in Korea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ways: it is an activity that laypersons engage in to get pleasure, be healed, interact with other people, and learn new things. Community dance may be put into the four following categories. First,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focuses on producing outputs with a sense of ‘community’ being together. It generates new meaning as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take part in stag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has attained artistic value by expressing the zeitgeist of different times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generations.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is distinct in that it has popularized community dance, bringing professional choreographers close to laypersons who dance. It has also given an enhanced sense of completeness with its orientation as performance. Second, ‘community-centered community dance’ has shared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community through dance and re-produced different communities. As a dance centered around the community for the people of the community, it can discover unique features of the community and tell stories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ird, ‘community dance for unspecified groups of people’ is one that anyone can Abstract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새로운 가치 분류를 위한 시론 211 participate in.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people of different generations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This category includes various community dances that are hitherto defined differently, and brings together like-minded communities through dance. Fourth, ‘community dance as dance education’ is part of dance education, and provides a space for people to dance together. It helps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better, gain self-confidence, think creatively, and enjoy cultures and arts.

한국어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형태를 성격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피는데 목적 을 둔다. 이러한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새롭게 분류함으로써 커뮤 니티 댄스가 갖고 있는 의미와 그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새로운 자신의 발견과 신체를 통한 자신감을 얻는 활동이자 사회적 공통분모가 소통하고 정보통신 기술발달로 인한 인간의 소통 단 절을 춤으로 교류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일반인들이 춤을 통해 즐거움과 치유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하는 활동에 서 교육적 측면을 지닌 프로그램들까지 여러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를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다. 첫째, 공연 지향의 커뮤니티 댄스는 참여하는 공동체가‘함께’라는 의식을 공유하며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행위에 바탕을 두면서 무공연에 중이 참여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다. 또한 다양한 세 와 만남을 통해 계층의 시정신을 구현하면서 예술성을 확보하다. 커뮤니티 댄스 활동을 확산시키고 춤추는 일반인들과 전문무용수의 거리를 좁혔다는 점 그리고 공연을 지향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다 는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둘째, 지역 중심의 커뮤니티 댄스는 그 지역의 문화의 정체성을 춤을 통해 공유하며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다른 커뮤니티를 재생산하다. 이는 지역민들을 위한 춤이자 지역을 기반으로 두는 활동으로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지역민들의 스토리텔링을 찾아 낼 수 있다. 셋째, 불특정 다수의 참여 커뮤니티 댄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댄스로 세 간의 교류 의 장으로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커뮤니티 댄스이다. 그 동안 각기 다르게 정의 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집약하고 있으며, 같은 생각을 하고 한데 모여 있는 커뮤니티가 춤을 통해 집결되어 있다. 넷째, 무용교육의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의 일환이자 사람과 사람이 춤을 통해 소통하는 장소로 서 여러 상에게 무용교육을 통해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과 자신감 및 창의적인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 를 주고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커뮤니티 댄스의 정의와 그 의미
 Ⅲ.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분류
  1. 공연 지향의 커뮤니티 댄스
  2. 지역 중심의 커뮤니티 댄스
  3. 불특정 다수 참여의 커뮤니티 댄스
  4. 무용 교육적 커뮤니티 댄스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예화 Jeon, Yehwa. 단국대학교 무용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