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의 목제 기경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Wooden Plowing Tools of Ancient Times

김도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ooden plowing tools(기경구) are important farming equipments that reflect the agricultural practice of ancient times, but they have never been examined in depth until now. Indeed, it is still a debate whether certain wooden farming equipment is a hoe(괭이) or a rake(고무래). With an acut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wooden plowing tools of ancient times. First of all,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ity that were reported to be wooden plowing tools were not actually wooden plowing tools, and that the majority that were reported to be rakes were actually hoes. Plowing tools were subdivided into 8 subtypes of wooden hoes, 2 subtypes of wooden ‘ttabi(따비),’ and 3 subtypes of wooden shovels(삽).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each subtype show that among wooden plowing tools, wooden hoes first appeared in the Bronze Age, and that the wooden plowing tools diversified in type in the early Iron Age. In addition, aspects of farming that can be deduced through wooden plowing tool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earlier times, agriculture increased in significance in the Bronze Age, and that the number of rice paddies in swampy places rose in the late Bronze Age.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early Iron Age there were big changes in plowing technology and fallow period. Wooden plowing tools were still in wide use for plowing in swampy places even after the Proto Three Kingdom Period.

한국어

목제 기경구는 고대의 농경 모습을 반영하는 주요한 농기구 가운데 하나이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검토된 적이 없었다. 게다가 특정 목기는 괭이인지 고무래인지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여기서는 고대의 목제 기경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성과와 자료를 검토하여 지금까지 목제 기경구로 보고된 목기 가운데 다수는 기경구가 아니라는 사실과 고무래로 보고된 목기 가운데 다수는 괭이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목제 괭이를 총 8개, 목제 따비를 2개, 목제 삽을 3개의 형식으로 분류한 다음 개개 형식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목제 기경구 가운데 목제 괭이가 청동기시대에 처음으로 출현하고 초기철기시대에는 목제 기경구의 종류가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목제 기경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농경의 양상도 간단히 제시하였다. 즉 청동기시대에는 밭농사를 중심으로 농경 작업의 비중이 높아졌고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저습지 논이 많아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기철기시대에는 기경 작업과 휴경 기간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 이후에도 저습지의 기경 작업에 여전히 목제 기경구를 널리 사용하였다고 추정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발굴 사례와 연구사 검토
 Ⅲ. 자료 검토와 분류
 Ⅳ. 목제 기경구와 농경의 변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헌 Kim, Do-Heon. 동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