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기지역 3~5세기대 묘제환경의 검토

원문정보

Tombs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이남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ombs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After an overview of the concept of tombs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burial data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rom 57 sites to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urial customs. First, the importance of burial systems we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burial systems of Mahan and Baekje. Then, attention was paid to understand the predominant form of tombs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Togwangmyo (wooden coffin tomb) and Bungumyo (tomb with tumulus). Togwangmyo (wooden coffin tomb) was further classified into Bongtomyo (tomb covered with mound), Jugu–togwangmyo (pit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Bungumyo (tomb with tumulus), and Gwangwak–togwangmyo (coffin pit tomb). Seokchukmyo (stone tomb) was further classified into Jeokseokmyo (stone-pile tomb), Seoksilmyo (stone-chamber tomb), and Seokgwakmyo (stone-lined tomb). Additionally, there is Onggwanmyo (jar burial). Data show that each burial custom is associated with a uniqu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Jugu–togwangmyo and Bungumyo increased since approximately the 3rd century, becoming the main burial custom by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Afterwards, there is an increasing diversification of burial customs such as Gwangwak–togwangmyo, Seoksilmyo, and Seokgwakmyo. Each burial custom has a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in the Hansung prefecture, the then capital of Baekje and hence the center of the Gyeonggi Province, the traditional burial custom is Bongtomyo which continues to be so for a very long time, before getting replaced by Seoksilmyo customs. The southern regions practiced the customs of Jugu-togwangmyo and the western regions Bungumyo. It was also found that Gwangwak–togwangmyo and Seoksilmyo customs spread with the progress of time. The burial traditions between the 3rd and 5th centuries in the Gyeonggi Province developed as follows: from the 1st to the 3rd century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Han states, Bongtomyo was practiced in Mahan; around the 3rd century, Jugu-togwangmyo appears, an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Jugu–togwangmyo’s Gochong-gobun (ancient mounds and tumuli) traditions, Bungumyo developed, situating itself as the indigenous burial custom in each region. Gwangwak–togwangmyo and Seokchukmyo appeared in the 4th century, but these customs were sporadical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n the mid to late 4th century, Seoksilmyo customs emerged in Hansung, the capital of Baekje, which had originally retained the traditional Mahan burial customs as the region’s main burial custom. However, the spread of Seoksilmyo customs to surrounding region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political and societal changes of that period.

한국어

이 글은 3~5세기대의 경기지역 분묘현황을 살펴 그 전개상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묘의 개념과 동시기 시대상에 대한 이해를 전제한 다음에, 57개 유적에서 확인된 분묘자료를 종합하여 검토하고, 그 묘제유형과 존재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분묘의 자료적 가치와 묘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마한과 그 묘제, 백제묘제 인식을 전제한 다음에 경기지역 3~5세기대 분묘자료의 대부분인 토광묘제와 분구묘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의 전제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지역 3~5세기대의 분묘자료는 토광묘로서 봉토묘, 주구토광묘, 분구묘, 관곽토광묘가 있고 석축묘로서 적석묘, 석실묘, 석곽묘와 함께 옹관묘의 자료를 확인하였다. 이들 각각의 묘제는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갖춘 것으로 3세기 즈음부터 주구토광묘와 분구묘 자료가 증가하여 4세기대에 이르면 중심묘제로 자리하고 이어 관곽토광묘와 석실묘, 석곽묘 등의 묘제가 더해져 다양성이 강화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묘제는 지역 간 차별적으로 분포하는데, 백제의 도읍지였던 한성지역, 즉 경기 중심권에 해당되는 지역은 봉토묘 중심의 전통묘제가 오랫동안 존속되고 이어 석실묘의 주 분포권을 이룬다. 그리고 남부권은 주구토광묘, 서부권은 분구묘가 분포권역을 이루는데, 시대의 진전에 따라 관곽토광묘와 석실묘의 확대도 살펴진다. 경기지역 3~5세기의 묘제환경은 1~3세기대 삼한시대에 마한 봉토묘가 사용되던 환경에 3세기 즈음 주구토광묘가 등장하고, 주구토광묘의 고총고분적 전통의 영향으로 분구묘가 발생하여 각각의 지역에 고유묘제로 자리한다. 더불어 4세기대에 관곽토광묘나 석축묘가 등장하나 이들은 중심권과 남부권에 산발적 분포상을 갖추고 있음도 확인된다. 물론 4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마한전통묘제의 환경에 머물던 백제의 도읍지 한성에 석실묘가 등장하여 주묘제로 정착하지만 그것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정황은 당시 정치, 사회상의 변화와 짝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경기지역 3~5세기대 묘제 이해의 전제
  1. 분묘와 묘제
  2. 마한과 그 묘제
  3. 백제묘제
  4. 토광묘제로서 분구묘
 Ⅲ. 경기지역 3~5세기대 분묘자료의 정황
  1. 분묘자료의 현황
  2. 분묘자료의 검토
 Ⅳ. 경기지역 3~5세기대 묘제환경
  1. 묘제 유형
  2. 존재 특성
  3. 전개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남석 Lee, Nam-Seok. 공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