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자의 통제집단 대비 창업자 특성 및 고용성과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Start-up Business Found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he Employed and/or the Unemployed)

박성익, 김종한, 조장식, 류장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performance of the treat group(start-up business found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he employed and/or the unemployed) utiliz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Specifically, we use the method of the PSM(Proprnsity Score Matching) and the hard maching in order to construct the control group, and utilize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 First, start-up business founders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eparation for the job search during their college or university period. This suggests that start-up business founders were not motivated to participate in the various programs for job search offered by the college or the university. Second, start-up business founders had less experience in education and training. Therefore programs for start-up business founders should be developed. Third, start-up business founders mainly engaged in ‘education service’,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 and ‘lodge and restaurant.’ In particular, the shares of start-up business founders in these occupations were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tart-up business were biased toward means of living relative to the technology start-up.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로부터 창업자와 유사한 인적특성을 지닌 통제집단(취업자, 실업자)을 구성하고, 이들 통제집단 대비 처리집단(창업자)의 특성과 고용성과를 비교·분석한다. 구체적으로, PSM(Propensity Score Matching)과 Hard maching을 활용하여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통제집단 대비 처리집단의 특성과 고용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가 다른 통제집단보다 대학재학 중에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이는 창업자가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에 참여할 동기를 별로 느끼지 못한 것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자는 취업자나 실업자에 비하여 교육 및 훈련횟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자의 절대 다수가 교육 및 훈련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창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창업자의 업종은 ‘교육 서비스업’, ‘도매 및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업종에서 창업한 사람들의 비중은 취업한 사람의 비중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대학 졸업자의 창업은 기술창업보다는 생계형 창업에 더 치우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창업자의 직종은 ‘교육 및 자연과학ㆍ사회과학 연구 관련직’, ‘영업 및 판매 관련직’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및 자연과학ㆍ사회과학 연구 관련직’의 비중이 높은 것은 교육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및 자료
  3.1 분석방법
  3.2 처리집단과 통제집단의 분포 비교ㆍ분석
 Ⅳ. 처리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분석
  4.1 창업자, 취업자 및 실업자 집단 분석
  4.2 창업자와 취업자 집단 일자리 분석
  4.3 회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익 Sungik Park. 경성대학교 국제무역통상학과 교수
  • 김종한 Jong Han Kim. 경성대학교 경제금융물류학부 교수
  • 조장식 Cho, Jang-Sik. 경성대학교 정보통계학과 교수.
  • 류장수 Ryu, Jang-Soo.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