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간경비원의 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소진,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Requirements, Job Resources and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ivate Security Guards

김성철, 김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job requirements and job resources, with job burnout as a mediator variable, and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opulation in the present study was private security guards employed by 13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security guards sele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Out of 4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429 responses, excluding 31 outliers or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analysis, data were coded and entered into SPSS 18.0 and AMOS 18.0, which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find 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us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 was perform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latent factors of a model for job requirements, job resources,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analyzed with CSA was determined by the goodness-of-fit index (χ2, df, p, RMR, GFI, CFI, TLI, RMSEA).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5,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even though the effect of job requirements on job burno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verall, and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such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requirements by the member of the organizatio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burnout. Second, the influence of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was negative, which can be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resource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job burnout. Third,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job requiremen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verall, and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requirement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job resourc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resourc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job burnou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t had partial negative influences on sublevel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is ma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job burnout by the organization members, the lowe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xth, the analysis of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quiremen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burnout was taking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job requiremen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job burnout by managing job requiremen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leads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can be maximized. Seventh, the analysis of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among job requirements, job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burnout was assuming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requirements, job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maximized by either lowering job requirements or burnout management through reorganizing job resources.

한국어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을 중심으로 직무소진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와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수도권에 위치한 민간경비업체 13곳에서 종사하고 있는 민간경비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의 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429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 두 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및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민간경비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직무소진, 조직유효성의 모형에 대한 잠재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한 모델의 적합도는 적합도 지수(χ2, df, p, RMR, GFI, CFI, TLI, RMSEA)에 의해 판정하였다. 이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무요구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조직구성원의 직무요구 지각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에 대한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직무자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직무자원 지각이 높을수록 직무소진 지각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직무요구가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직무요구 지각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 지각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직무자원이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 지각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 지각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소진은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 지각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직무요구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직무소진이 직무요구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요구를 관리하여 직무소진을 줄임으로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조직유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직무소진은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요구를 낮추거나 직무자원의 정비를 통한 직무소진 관리방안이 조직유효성을 극대화 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철 Kim, Sung-Cheol. 김포대학교 경찰경호행정과 교수
  • 김영현 Kim, Young-Hyun. 김포대학교 경찰경호행정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