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규범 인식, 평가 성향, 음주의 사회적 편익 인식이 대학생들의 음주 행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Social Norm Perception, Assessment Orientation, and Perceived Benefits of Drinking to Social Relationships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Behaviors

최정화, 노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oles that assessment orientation(AO) and perceived benefits of drinking to social relationship(PB) play in college students’ social norm acceptanc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how the influence of two types of social norms, i.e., injunctive norms(IN) and descriptive norms(DN), on collegiate drinking is moderated by these two variables. A national survey of Korean college students(N = 569) conducted online revealed: 1) greater influence of DN on the amount of drinking when students perceive greater benefits of drinking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2) greater influence of PB on the amount of drinking among those with higher AO; 3)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of AO☓DN☓PB on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social norm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public interventions to reduce collegiate drinking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인 ‘평가 성향’과 ‘음주의 사회적 편익 인식’이 대학생들의 사회 규범 수용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묘사적 규범과 명령적 규범이 대학생들의 음주 행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전국 대학생(N = 569)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토대로분석한 결과, 묘사적 규범 인식이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이 높아질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이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평가 성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주 빈도와 관련해서는 묘사적 규범, 평가 성향, 그리고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 간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음주 편익 인식이 높고 평가 성향이 높은 개인들 사이에서 묘사적 규범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 규범 이론의 정교화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대학생 음주 관련 중재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실용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서론 및 문제 제기
 문헌 연구
  사회 규범 인식과 음주 행위
  자기 규제 역량과 평가 성향, 그리고 사회 규범의 영향력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
 연구 방법
  자료 수집
  연구 변인 및 측정
 분석 및 결과
  평가 성향과 사회 규범 인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
  사회 규범 인식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
  평가 성향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
  사회 규범 인식과 평가 성향, 그리고 음주에 대한 사회적 편익 인식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정화 Jounghwa Choi. 한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부교수
  • 노기영 Ghee-Young Noh.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