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적 공간으로서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원문정보

The Ethnographic Study on the Meaning of a Small-sized Suburban-rural School as an Educationally Significant Space

최성광, 강용태, 박진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Korean education authority has been discussing the efficiency of running suburban-rural schools and attempts to integrate them together to save educational finance. However, this attempt should be followed by in-depth explorations of the lives of school members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ducational meaning.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of a suburban-rural school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s have tried to explore the school lives and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of ‘Narae’ Elementary School located near ‘M’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hich emerged in the form of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show at least the following three themes. First, playing is the best activity in students lives and through the play they experience as an important lifeworld in the school. The play contributes to understand of other students and finally to form good and well-rounded character. Students experience deficit in their house, but enjoy their lives in the school. Second, teachers experience common ethos of the school community through their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in the school and close relationship among others, and finally form cooperative group identity. Third, these experiences reduce school problems such as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and rather make possible form students’ good character and teachers’ active attitude toward their students and the community. The small-sized suburban-rural schools are functioning as a useful space for orderliness and cooperation, not a money-consuming place. In conclusion, the school is the embryo of relations, feelings, orderliness, rules, and discipline. The policy for the small-sized suburban-rural schools should be carefully implemented.

한국어

이 연구는 대도시(M광역시) 근교에 소재한 ‘나래초등학교’라는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특수한 공간과 그 속에서의 구성원들의 일상적인 삶과 그 의미를 문화기술지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라는 공간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공간은 왕따나 학교폭력과 같은 심각한 학교문제나 성적에 초점을 둔 경쟁 위주의 문화가 자리하지 않으며,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주는 삶의 터전이자 분절된 삶이 통합되어 전인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한마디로, ‘나래초등학교’와 같은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공간은 이곳 학생들의 분절된 삶을 통합시키고 배려와 화합을 조성함으로써 공동체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곳이라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는 교육재정을 낭비하는 비효율적 공간이거나 대도시와 떨어져 있음으로 해서 생기는 결핍으로 특징 지워질 공간이 아니라, 오히려 교육 구성원들에게 풍요로운 삶의 터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라는 공간이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갖고 있기에 이들 학교를 교육재정의 효율적 운용의 측면에서 예산 낭비의 장소로 규정하고 통폐합 할 것이 아니라, 이들의 존치를 통해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우리 교육 전반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라는 공간에 관한 해석적 관점
  1.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2. 학교 공간에 관한 해석적 관점
 Ⅲ. 연구방법과 절차
  1. 연구 대상 학교의 생태적 지도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과 분석
 Ⅳ. '나래초등학교'의 특수 공간
  1. 실외의 특수한 공간: 놀이와 배움
  2. 실내의 특수한 공간: 여유와 상호작용
 Ⅴ. '나래초등학교': 삶의 터전이자 통합의 공간
  1. 결핍된 삶에 학교 공간이 제공하는 풍부한 놀이
  2. 생태적 공간이 제공하는 여유와 안정
  3. 학교 공간이 제공하는 통합과 폐쇄성
 Ⅵ. '나래초등학교' 공간의 공동체성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성광 Sung-Kwang Choi. 광주제석초등학교
  • 강용태 Yong-Tae Gang. 전남대학교
  • 박진채 Jin-Chae Park.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