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유학의 아동교육(2) - 주자의 『동몽수지』ㆍ『논어훈몽구의』ㆍ『훈몽절구』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Neo-Confucian Children Education - Focused on Chu Hsi’s 3 Textbook for Teaching Children -

이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u Hsi’s children's education philosophy to analyze his 3 textbooks for teaching children. those are Dongmonsuji(童蒙須知)․Noneohunmonguyi(論語訓蒙口義)․HunmonJeolgu(訓蒙絶句). Chu’s deep interest on children's education is verified in his creating these textbooks for teaching children. When he wrote these 3 textbooks in around 34 years-old. And, after about 10 years, he compiled the textbooks for teaching children of those days and published. His first textbook for teaching children is Dongmonsuji, which is composed of 5 sections on ‘clothing, hat and shoes management’, ‘polite attitude conversational method and step method’, ‘the cleaning and response method’, ‘reading and writing method’ and ‘ miscellaneous matters’. This textbook is a basic and precedence book for introducing the study of literature. Chu focused on the training as a scholar of cautions character. Chu wrote second textbook, Noneohunmonguyi, the same year. This book was designed to explain children the meaning of Analects easily. Chu accounted for Confucius’s cultivation method as ‘study things on the lower level and penetrate things on the higher level(下學上達)’. And, Chu created another textbook, HunmonJeolgu. This book is the collection of 100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for teaching children Four Classics(四書). This collection of poems is composed of 5 sections as ‘Introduction’, ‘Great Learnings(大學)’, ‘Doctrine of the Means(中庸)’, ‘Analectss(論語)’ and ‘Menciuss(孟子)’. There is the basic philosophy of ‘principle is one but manifested diversely(理一分殊)’ all over the HunmonJeolgu,. So Chu showed that ‘the principle of Heaven is endowed with nature in mind’ and ‘the study and cultivation in everyday life is the method of becoming a sage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refore Noneohunmonguyi is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Dongmonsuji, and HunmonJeolgu is the full edition of Noneohunmonguyi .

한국어

이 글은 주자와 왕양명의 아동교육 사상을 탐색하는 전체 연구의 두 번째에 해당하며, 주자가 『소학(小學)』을 제작하기 이전에 저술한 『동몽수지(童蒙須知)』·『논어훈몽구의(論語訓蒙口義)』·『훈몽절구(訓蒙絶句)』를 통해 그의 아동교육사상을 검토하여 보았다. 주자는 젊은 시절부터 ‘소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여 왔다. 그는 34세(1163) 즈음에 『동몽수지』·『논어훈몽구의』․『훈몽절구』 동몽교재 세 권을 저술하였다. 그가 가장 먼저 저술한 동몽교재는 『훈학제규(訓學齋規)』라고도 불리었던 『동몽수지󰡕로, 이 책은 ‘의복관리(衣服冠履)’·‘언어보추(言語步趨)’·‘쇄소연결(灑掃涓潔)’·‘독서사문자(讀書寫文字)’·‘잡세사의(雜細事宜)’의 총 5장 38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동몽수지』는 ‘아동이 본격적인 학문에 입문하기 전에 배워야 할 초보적인 지침서’이며, ‘삼가․조심하는 선비[謹愿之士] 즉 견자(狷者)가 될 수 있는 자질양성’에 초점을 두었다. 주자는 같은 해(34세, 1163)에 『논어훈몽구의』를 저술하는데, 이는 『논어요의(論語要義)』를 짓고 난 뒤에 아동들이 편리하게 학습하도록 새롭게 정리·저술한 교재이다. 주자는 이 교재를 통해 유가의 성인이 보여준 ‘단계를 소홀히 하지 않고 차근차근하는 것[不躐等]’이 진정한 공부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곧 『논어』의 가르침은 현묘하고 고원한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주자는 『논어훈몽구의』를 통해 『논어』의 의리(義理)를 제시한 이후, 그 범위를 『사서(四書)』로까지 확대하고자 하였다. 그것이 바로 ‘『사서』의 의리를 아동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든 100수의 칠언절구’ 모음집인 『훈몽절구』이다. 이 책은 ‘도입부(1~6)-『대학』 (7~12)-『중용』(13~29)-『논어』(30~75)-『맹자』(76~100)’의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도입부 6수 절구에서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철학’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 철학은 나머지 『사서』와 관련된 절구들의 바탕으로 자리한다. 주자는 『훈몽절구』를 통해 아동에게 ‘우주의 원리[理]가 본성[性]으로서 담겨져 있으며, 그 본성[性]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서는 사욕을 제거하는 마음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마음공부의 장소는 바로 일상이고, 그 일상의 학문[下學]이 진정한 성인됨의 학문[聖學]’임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주자가 저술한 3권의 동몽교재를 제작 시기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논어훈몽구의』는 일상적 도리를 제시한 『동몽수지』의 이론적 정당화이며, 『훈몽절구』는 『논어훈몽구의』의 확장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머리말
 2. 『소학』이전에 주자가 저술한 3권의 동몽교재
  1) 『동몽수지(童蒙須知)』
  2) 『논어훈몽구의(論語訓蒙口義)』
  3) 『훈몽절구(訓蒙絶句)』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우진 Lee, Woojn.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