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백파 긍선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

원문정보

Baekpa-Geungseon’s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이창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arts on the problem of “Baekpa-Geungseon(白坡亘璇, 1767~1852)’s 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in the book,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 Baekpa divided Zen into three kinds of meditations, Patriach-Meditation(祖師禪), Tathagata-Meditation(如來禪), and Principle-Meditation(義 理禪). Among these meditations, he matched Patriach-Meditation into Linji school(臨濟宗) and Yúnmén school(雲門宗), Tathagata-Meditation into Wèiyǎng school(潙仰宗), Fǎyǎn school(法眼宗) and Cáodòng school(曹洞宗), and Principle-Meditation into Huayan school (華嚴宗). By the way, in Baekpa’s viewpoint, the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in the late Choseon Buddhism world after Cheongheo-Hwujeong had been summar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eon Zen Buddhism through Baekpa’s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So I handled the next three problems under the purpose. First, I tried to inquire the reason why Baekpa’s Three Kinds of Meditations had been appeared and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in his thought. The point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istinct the Zen phrase through Linji’s three phrases(臨濟三句). Secondly, studied the standards for the Baekpa’s distinction of the Patriach-Meditation from the Tathagata-Meditation. And then I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meditation.Thirdly, I tried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the limit and the meaning of Baekpa’s understanding of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His understanding speaks for the common recognition of the division of Cheongheo’s line and Buhyu’s line in the late Joseon Zen Buddhism. It is a little far from historical fact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but it gives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understand Zen Buddhism in the late Joseon.

한국어

본고는 선문수경에 나타난 백파 긍선의 삼종선에 대한 문제에서 출발한다. 백파는 선(禪)을 조사선, 여래선, 의리선의 셋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조사선에 임제종과 운문종 을 배대하고, 여래선에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을 배대하고 있으며, 의리선에 화엄을 배대하고 있다. 그런데 조사선과 여래선에 선종 5가를 각각 배대한 백파의 관점에는 청허 휴정 이후 조 선후기 불교계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이 집약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백파의 선종 5가 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 아래 다음의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백파의 삼종선 사상은 어떠한 목적에서 출현하였으며, 그 사상적 연원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핵심은 임제의 3구를 통하여 선의 문구(文句)를 판별하 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백파가 조사선과 여래선을 구별한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그 기준 에 따라 임제종과 운문종이 조사선으로 분류된 특징은 무엇이고,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 동종이 여래선으로 분류된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백파가 선종 5가 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던 내용에 대한 특징과 한계 및 그 의의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백파의 인식은 조선후기 선종의 청허계와 부휴계 문파들의 공통된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는 선종 5가의 역사적 사실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지만 조선후기 선사상의 특 징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백파의 삼종선 사상의 출현과 배경
 3. 여래선과 조사선의 구별
 4. 선종 5가의 법맥에 대한 견해
 5. 선종 5가의 우열관계와 특징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안 Lee, Chang-An. 철우, 동국대(경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