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퇴계의 선비관

원문정보

Toegye’s viewpoint on ‘Sunbi’

오지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oegye's viewpoint on Sunbi (선비). It can be said that almost all the researches up to this time focus on the image of sunbi revealed from Toegye’s life himself. Thus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oegye’s “completed works” to find the right and ideal figure of sunbi in his view. Sunbi means traditional Korean scholar. Sunbi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s ‘Sa (士)’ or ‘Yu (儒)’. According to Korean ancient records, Sunbi was also written as Sunbae (선​ ), Daesun (大仙)·Guksun (國仙)·Choui (皁衣), Amsisunin (巖始仙人), Chouisunin (早衣仙人 or 皂衣先人), Sunin (仙人 or 先人). Toegye’s historical consciousness begins from ‘Dangun Chosun (檀君朝鮮)’, and his ideal figure is Kija (箕子). He thinks that Dangun’s spirit of “founding the country” (開國神明) that was concretized as “bringing advantages broadly to the people” (弘益人間) and “transforming the world” (在世理化) has realized by Kija’s “great plan with its nine divisions” (洪範九疇). Therefore Toegye once said proudly to Chinese Emperor's special envoy that “Chosun is the country of Gunja (君子之國)”. Gunja means noble character in Chosun and China. Toegye’s viewpoint on Sunbi was based on that spirit of Dangun. Thus in his chekmun (策問, questions about policy), he bitterly denounces who do not understand the manner, the justice and the sense of shame (禮義廉恥), and do everything to fulfill their ambition. He thinks it is necessary to keep this valuable spirit in mind. This thought is obviously expressed in his idea of “respect” (敬), and also the important basis of his high valuation 84 儒學硏究 第34輯(2016. 2) of ‘principle’ (理). That is the root of Toegye’s philosophy,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it and the Neo-Confucianism.

한국어

이 논문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이 바라보는 선비의 모습 즉, 선비관에 관 한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퇴계의 삶 속에 나타난 선비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그래 서 이 글은 퇴계가 바라는 바람직한 선비의 모습에 대해서 퇴계전서를 중심으로 검토 하였다.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앞부분은 선비의 개념과 연원에 대해서 다루었다. 여기서 선비 는 ‘선비 사(士)’와 ‘선비 유(儒)’가 있으며, ‘배운 사람’으로 ‘일을 하는 사람’ 혹은 ‘섬기는 사람’이다. 조선시대에는 선비를 ‘선’라고 기록하였는데, 그 이전에는 대선(大仙)·국 선(國仙)·조의(皁衣), 암시선인(巖始仙人), 조의선인(早衣仙人, 皂衣先人), 선인(仙 人·先人) 등으로 기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퇴계의 역사의식은 단군 때까지 소급되며,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인물이 기자(箕 子)이다. 단군(檀君)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의 개국신명(開國神 明) 정신을 기자가 ‘홍범구주(洪範九疇)’통하여 그것을 현실에 구현하여 보여주었다. 그 렇기 때문에, 퇴계는 조선을 군자의 나라, ‘군자지국(君子之國)’라고 당당하게 중국 황제 의 사신에게 말한다. 퇴계의 선비관 안에는 홍익인간과 재세이화의 개국신명정신이 담겨 있다. 그래서 퇴계 는 예의염치(禮義廉恥)를 모르고 사적인 욕심을 채우기 위해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이들 을 책문(策問)을 통하여 강하게 질타하였다. 퇴계는 개국신명의 정신을 가장 소중하게 마 음속에 간직하려 하였다. 이것이 퇴계에게 있어 드러난 것이 바로 경(敬)이다. 그리고 이 (理)를 중시하게 된 중요한 배경이다. 이것이 퇴계철학의 뿌리이며, 성리학이 만나 퇴계 학을 형성하였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선비의 개념과 연원
  1) 사대부의 나라 조선의 선비
  2) 선비의 연원
  3) 조선 선비의 역사인식
 3. 군자가 사는 나라의 선비
  1) 동방의 아름다운 나라와 선비
  2) 당당한 선비의 나라〔君子之國〕
  3) 군자가 사는 나라의 선비와 현실적 비판
 4. 선비의 출처관(出處觀)과 그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지환 Oh Ji Hwan.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