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의 안전 관리가 안전성과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s of Firms’ Safety Management on Safety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김기용, 구자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for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afety management, safety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and mediation effects of safe performance between safety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e 253 samples were used for this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safety management such as safety leadership, safe climate had positively significant for safety performance (safety behavior) and safety behavior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into job satisfactio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sion. And also, safety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for the turnover intension and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that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dilute the turnover intension rate. The result of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safety performance showed that safety climate-management value had fully mediation effects and safety climate-safety execution had partially mediation effects with job performance. To sum the results up, the top management team have to prepare the management perspective for the safety that employee can feel safety atmosphere in the work place because safety related factors are significant effects into job performance. TMT’s supports and developments of industrial safety are essential to settle down as an safety culture in organization in order to execute safety behaviors in the work places.

한국어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산업안전관리 인식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산업안전관련 주요 요인은 조직 안전 관리 요인, 안전성과 요인, 직무 성과 요인이다. 첫째, 기업의 안전관리가 안전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안전성과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안전성과가 조직 관리 요인과 직무 성과 요인에 대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은 총 253개 이며, 국내 및 글로벌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 리더십, 안전 분위기와 같은 조직 안전 관리 요인은 안전성과인 안전 행동 요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안전 행동 요인은 직무 만족, 직무 몰입에 정(+)의 영향을,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안전 순응 행동 및 안전 참여 행동이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안전분위기-경영가치 요인은 직무성과의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안전 리더십과 안전분위기-안전실천은 직무성과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안전에 관한 요인들은 조직의 직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만큼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서 안전을 느끼고 체감할 수 있는 관리적 관점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산업 안전은 형식적인 보여주기 식의 이벤트가 아닌 현장에서 종업원들이 직접 실천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경영진의 안전리더십을 개발함과 동시에 안전 문화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초록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산업안전 선행 연구
 Ⅲ. 연구 개념 및 가설
  1. 안전 리더십과 안전성과
  2. 안전 분위기와 안전성과
  3. 안전과 직무성과
  4. 연구 모형
  5. 측정 도구
  6.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Ⅳ. 실증 분석 결과
  1. 표본의 특성
  2. 연구 모형의 검증
  3. 경로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용 Kim, Ki Yong.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과 박사수료
  • 구자원 Gu, Ja Won.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