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기업 특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o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김숙연, 김선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 enterprise pursuits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and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s divided into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n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and this study collected the disclosure materials from directory of Korean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The economic performance is return on net sales and the social performance is rate of vulnerable employmen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are type of organization, number of paid workers, company size, capital, certification period, government grants, the number of disclosur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ype of organization, company size, capital of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government grants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economic performance. Second, type of organization, certification period, government grants of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 performance, and number of paid workers and the number of disclosur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social performance.

한국어

사회적기업은 영리를 추구하는 일반기업과는 달리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조직의 형태이므로, 사회적기업의 성과도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로 구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 특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자발적으로 경영공시를 수행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사회적 성과는 취약계층고용비율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기업 특성 요인으로는 조직형태, 유급근로자수, 기업규모, 자본, 인증기간, 정부지원금, 공시횟수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특성과 경제적 성과와의 분석에서 조직형태, 기업규모, 자본이 매출액영업이익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지원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급근로자수와 인증기간은 양의 관련성을 보이고, 공시횟수는 음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사회적기업 특성과 사회적 성과와의 분석에서는 조직형태, 인증기간, 정부지원금이 취약계층고용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급근로자수와 공시횟수는 취약계층고용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본은 양의 관련성을 보이고, 기업규모는 음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1. 사회적기업
  2. 사회적기업 자율경영공시
  3.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모형의 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의 설정
  3.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Ⅳ. 실증분석결과
  1. 기술통계
  2. 상관관계분석
  3. 실증분석결과
 Ⅴ. 연구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숙연 Suk-Yeon Kim.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김선구 Seon Gu Kim. 한세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