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유사외상장면의 침습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Intrusion in Analogue Trauma

심상민, 최윤경

초록

영어

The attentional system of anxious individuals is biased in favor of threat-related stimuli. Results of attention-bias studi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have been inconsistent, suggesting biases towards and away from threa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and inversed attention bias modification (I-ABM) could reduce intrusive memory of analogue trauma. Fifty-four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ABM, I-AMB or attention control condition (ACC). This study used the dot-probe task to manipulate attention towards (I-ABM condition) and away from threat (ABM condition). The design of study was 3(treatment: ABM, I-ABM, or ACC) × 2(block order: neutral block first or trauma-related neutral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a difference of intrusion frequency between ABM and ACC group. Second, I-ABM group had lower than ACC group for the frequency of intrusion. Third, in I-ABM, trauma-related neutral first condition was smaller than neutral block first condition for the frequency of intr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rapeutic effect of exposure to threat stimuli.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한국어

불안 주의체계는 위협자극에 대해 주의가 더 빠르게 촉진되도록 한다. 그러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서 주의편향에 대한 결과는 일치하지 않으며, 주의가 위협자극으로 촉진되거나 이탈됨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외상장면에서 주의편향 수정훈련이 침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참가자는 54명의 대학생들로, 탐침탐사과제를 사용해서 주의편향을 조작한 3개의 훈련조건 중 하나에 무선 할당되었다. 실험 설계는 3(훈련조건: Attention Bias Modification, inverse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ttention Control Condition) × 2(중립자극 제시순서)의 혼합설계로, 훈련조건은 중립자극이나(ABM) 위협자극에 주의를 향하게 한 조건(I-ABM), 그리고 통제조건(ACC)으로 구성되었으며, 중립자극의 종류에 따른 노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립자극의 제시순서를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BM 집단과 ACC 집단 간에 침습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I-ABM 집단은 ACC 집단에 비해 더 적은 침습빈도를 보였다. 셋째, I-ABM에서 역 제시 조건과 순 제시 조건 간 침습빈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효과크기는 각각 .50, .7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협자극에 대한 노출이 치료적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방법
  참가자
  측정도구
  절차
  통계분석
 결과
  사전 동질성 검증
  침습빈도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상민 Sang Min Shim.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최윤경 Yun Kyeung Choi.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The Effects of Analogue Traumatic Situation and Cognitive Load on Attentional Biasearticle 원문 이동
  • 2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CES-D) : Its use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3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네이버 원문 이동
  • 4The Effect of Cognitive Processing Style and Eye Movements on Intrusion of Similar Trauma Scene네이버 원문 이동
  • 5장윤지 (2013). 유사외상 상황에서 지각적 점화:외상자극과 일반위협자극의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6한국판 CES-D 개발 연구.1네이버 원문 이동
  • 7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8主要憂鬱症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9Attention training in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social phob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네이버 원문 이동
  • 10Specificity of Stroop interference in patients with pain and PTSD.네이버 원문 이동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