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Positive Facial Emotion Expression

원문정보

긍정적 얼굴 정서 표현에서의 비교 문화적 탐색 연구

Yae Bin Kim, Soo Hyun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xperience of positive emotion is affected by culture, and differences in its expression and evaluation exist across different cultural groups. The present study examined (1) possible different patterns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in European American and Korean women, and (2)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ultural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acial emotional expression and likability in culturally distinct pairs. Forty-three European American and 69 Korean female students reported their perceptions of degree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in still-photos of European American and Korean females to assess cultural norms regarding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Participants then rated the degree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likability, and cultural fit after viewing Olympic gold medalist photos representing the two cultural groups.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from both groups rated the degree of emotional expression of Korean females to be lower than that of European American females. Furthermore, moderation analyses found that 1)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highly associated with likability when winner’s expression adhered to the Western cultural norm and 2) expressive suppression was associated with low likability when deviating from the Western norm, only in Korean participants rating emotional expression of Western gold medalists. Such findings support the need for implementation and dissemination of culturally sensitive psychotherapy, tailoring therapy based on therapist and client culture.

한국어

긍정적 정서는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는 정서로 여겨지며 이에 대한 얼굴 표현에 있어서도 문화차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3명의 미국인과 69명의 한국인 여자 대학생들을 대 상으로 긍정적 정서 표현에 대한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규범을 확인하고, 지각된 긍정적 정 서 표현 정도와 호감도의 관계가 정서 표현과 관련된 문화적 적절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 알아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컴퓨터 또는 노트북 화면에 제시된 서양, 동 양 여자, 그리고 여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다양한 긍정적 정서 표현 사진을 보고 해당되 는 문항에 대해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과 미국인 참가자 모두 한국 여성이 미국 여성 보다 긍정적 정서를 더 적게 표현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한국인 참가자가 지각한 미국인 선수들에게서만 긍정적 정서 표현과 관련된 문화적 적절성의 조절효 과를 확인하였다. 즉, 한국인이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미국인 선수의 정서 표현 정도가 미 국 문화에 적절하다고 인지했을 경우, 표현의 경향성이 높을수록 호감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긍정적 정서를 덜 표현하는 미국인 선수의 정서 표현 정도가 미국 문화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표현을 하지 않을수록 호감도가 낮았다. 이렇게 각 문화권에서 긍정적 정서 표현을 어떻게 감지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문화에 따른 긍정적 정서 표현의 차이와 이해 를 돕고,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치료사와 내담자 관계에서 문화적 요인들을 상세히 고려 하는 심리치료의 보급과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Method
  Participants
  Procedure
  Materials and Measures
  Data Analysis
 Results
  Differences in Cultural Orientation
  Differences in Cultural Norm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Selection of the most and least expressive still-photo in each culture
  Correlation Analyses of Variables
  Moderation Analyses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Yae Bin Kim 김예빈.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Soo Hyun Park 박수현.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