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Feasibility of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for Depression in Korea : A Case Stud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ationale and procedures of Behavioral Activation (BA) treatment for depression and to examine feasibility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n Korea. The basic principle of the BA i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adaptive behavior and to decrease engagement in activities that limit access to reward by integrating activity monitoring and activity scheduling into its main therapeutic components. Despite a number of large-scaled effectiveness trials and meta-analysis studies supporting the BA as an independent and efficacious treatment for depressive disorders, none has been reported in this country. To evaluate feasibility of the BA in Korean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current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from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delivered the 10-session group format BA to five individuals who met the study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t pre- and post-treatment, depressive symptoms, level of functioning, and behavioral activation level were assessed. With minimum drop-out rates (1 out of 5), 50% of the completers showed a large effect size for depressive symptoms, a medium to large for level of functioning, and a medium effect size for behavioral activation level. The current case study supports feasibility and thus future work should replicate the current findings with a larger sample in a controlled manner.
한국어
본 연구는 우울증 감소를 위한 행동활성화 치료가 국내에 적용가능하며 치료효과가 있는지 예비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 치료의 원리와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치료를 실시하여 각 사례의 결과를 척도별로 제시하였다. 행동활성화는 우울증 환자의 삶에서 적응적 활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보상 획득에 방해가 되는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행동활성화는 다수의 대규모 효과성 검증 연구 및 메타분석연구를 통해 우울장애에 대한 단독 치료로서 인정받았으며, 미국심리학회에 의해 우울증의 근거기반치료 중 하나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우울증 환자에게 행동활성화를 적용한 사례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행동활성화 치료의 보급을 위해 국내 우울증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한지 그리고 해외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의뢰된 우울증 환자 6명 중 연구 포함 및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5명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치료 사전 및 사후에 2개의 우울증상 평가 척도, 1개의 행동활성화 척도, 2개의 기능 평가 척도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5명 가운데 4명이 10회기의 그룹치료를 완수하였으며, 그 중 2명이 행동활성화 치료에 반응하였다. 효과 크기는 중간에서 큰 수준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지역사회 장면에서 행동활성화 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앞으로 대규모 무선통제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하고 타당화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목차
방법
연구 참여자
연구 절차
평가 도구
우울증의 행동활성화
분석 방법
결과
연구 참가자와 프로그램 참여
우울 수준
행동활성화 수준
기능 수준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