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조 후기 및 근대 서울ㆍ경기지역의 문중문고 전적에 관한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Old Book Collections Collected by the Families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from 1500 to 1945

임영란,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bibliographical study of 7,844 books of 1,277 types from family collection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that can currently be tracked which were 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Joseon era to modern times: namely the Han Sang-eok Collection, Su-dang Collection, Seong-ho Collection, Gyeong Seol-jae Collection, and Seo-gye Collection. I survey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ach collection ;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entral figures, themes and types of books that were formed with each development stage of the libraries to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collections by collection form, print types, themes, and schools of though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form show that 7 books were published in the 1500s (0.54%), 285 books in the 1600s (22.31%), 305 books in the 1700s (23.88%), 557 books in the 1800s (43.61%) and 123 books from 1900-1940 (9.63%) with the highest ratio of publication being from the 1800s. Each stage of the collection’s development show a different inclination toward theme, type of printing, and book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llector. As in the Han Chang-su era of the Han Sang-eok Collection and the Min Yong-dal era of the Su-dang Collection, we can observe book collection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ollections concentrated on individual interests. The public office term of the individuals who contributed to the libraries influenced whether the books were metal type prints, wooden type prints or block books. Second, the type of prints used are divided into 406 handwritten books (31.79%), 530 block books (41.50%), 160 metal type prints (12.52%), 61 wooden type prints (4.77%), 64 rubbing prints (5.01%), 18 lithographic prints (1.40%) and 38 lead type prints (2.97%). Block books were collected in the highest number, with handwritten books having the second highest number as the result of the individual’s academic studies. The high percentage of handwritten books in libraries such as the Seong-ho Collection can be accounted for advancement in Hakpa, while a high percentage of special prints such as rubbing prints can be analyzed as a tendency toward Gahak. Third, the themes were sorted into 287 Confucian classics (22.47%), 342 books on history and law and administration (26.78%), 155 philosophical works (12.13%) and 493 literary works (38.60%). The collections that are distinguished by themes show a tendency toward Gahak, while individual writings and biographies reflect the family individual’s Hakpa inclinations. Confucian classics were collected to educate the children of the household. The unofficial historical documents of the Su-dang Collection, the documents on traditional rites of the Seong-ho Collection, the divination texts of the GyeongSeol-jae Collection, and the epigraphy studies of the Seo-gye Collection reflect Gahak tendencies. Fourth, the dominance of Hakpa in the beginning of the collections weakened after the 19th century, revealing a more progressive and open character that referred to and accepted many schools of thought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he study of rites. Also, the collections showed different levels of Hakpa according to the individual in the collection’s formation stag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tudy the changes in Gahak and schools of thought.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 형성․발달한 서울․경기지역의 문중문고 가운데 현황 파악이 가능한 한상억문고, 수당문고, 성호문고, 경설재문고, 서계문고에 소장된 1,277종 7,844책을 대상으로 각 문고별 형성과 발달을 개관하였으며, 문고 형성 시기별 중심인물과 주제별․판종별 구성을 조사 분석하여 각 문중문고의 역사적․서지적 성격을 밝히고, 문고를 종합하여 집서별, 판본별, 주제별, 학파적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서별 특성에 있어 소장본의 간행 시기는 1500년대 7종(0.54%), 1600년대 285종(22.31%), 1700년대 305종(23.88%), 1800년대 557종(43.61%), 1900-45년 123종(9.63%)이다. 각 문고의 형성 시기별 인물에 따라 주제, 판본, 간행본의 집서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한상억문고의 한창수 시기와 수당문고의 민영달 시기는 19세기 말 개인의 관심에 집중된 수집문고의 성격을 띠기 시작하였다. 문고 형성에 기여한 인물들의 관직 재임 여부는 금속활자본․목활자본․목판본의 유입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판본별 특성은 필사본 406종(31.79%), 목판본 530종(41.50%), 금속활자본 160종(12.52%), 목활자본 61종(4.77%), 탁본 64종(5.01%), 석판본 18종(1.40%), 신연활자본 38종(2.97%)이다. 목판본이 가장 많으며, 개인의 학술활동의 결과물인 필사본이 그 뒤를 이었다. 성호문고처럼 手稿本의 비중이 높은 경우는 가학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되며, 서계문고의 탁본처럼 특정 판본의 비중이 높은 것은 가학의 경향으로 분석된다. 셋째, 주제별 특성은 경부 287종(22.47%), 사부 342종(26.78%), 자부 155종(12.13%), 집부 493종(38.60%)이다. 주제 분류에 의해 두드러지는 집서군에는 가학의 경향이 반영되어 있으며, 별집류와 전기류에는 문중인물의 학파적 경향이 반영되어 있다. 경서류는 문중자제 교육용으로 집서되었다. 수당문고의 ‘잡사류’, 성호문고의 ‘예류’, 경설재문고의 ‘술수류’, 서계문고의 ‘금석류’는 가학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문고의 형성 초기에 드러나던 학파성은 19세기 이후 퇴색하고 진보적․개방적 성향을 드러내며 경학이나 예학의 주제에 따라 여러 학파의 견해를 모두 참고하여 수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문고의 형성 시기별 인물에 따라 학파적 경향은 다소 차이를 보이며, 가학과 학파 변화 양상을 읽을 수 있다.

목차

<초록>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2. 이론적 배경
  2.1 문중 및 문중문고의 형성과 발달
  2.2 서울ㆍ경기지역의 문중문고
 3. 서울ㆍ경기지역 문중문고의 형성 시기와 형태별 분석
  3.1 한상억문고(韓相億文庫)
  3.2 수당문고(綏堂文庫)
  3.3 성호문고(星湖文庫)
  3.4 경설재문고(景雪齋文庫)
  3.5 서계문고(西溪文庫)
 4. 서울ㆍ경기 문중문고의 종합분석
  4.1 집서별 특성
  4.2 판본별 특성
  4.3 주제별 특성
  4.4 학파적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영란 Lim, Young Ran. 한성대학교 시간강사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