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月沙 李廷龜의 世子冊封 奏請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arting Records Related to Wolsa Yi Jung-gueui’s Prince Crowning Jucheongjeongsa

월사 이정균의 세자책봉 주청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ight records of farewell to Wolsa Yi Jung-gu-eui (1564∼ 1635) on his jucheongjeongsa for the crowning of the prince (1604). The paper looks over Wolsa’s life and achievements, looks into the diplomacy of the jucheongjeongsa aimed at ratifying the crowing of the prince to the Ming empire in the 37th year of Seonjo’s reign (1604), and analyzed the farewell records related to the prince crowning jucheongjeongsa. Wolsa Yi Jung-gu-eui’s courtesy name was Seongjing while his pen name was Wolsa. He placed first in the seungbosi in the 10th year of Seonjo’s reign (1577), passed the jinsasi in the 18th year of Seonjo (1585), and passed the augmented literary examinations in the 23rd year of Seonjo (1590). He became master of letters serving as a munsa. Being especially outstanding at diplomatic documents relating to sadae (serving the great) and gyorin (neighborly relations) he was dispatched to China four times in the 31st and 37th year of Seonjo’s reign (1598 and 1604) and in the 8th and 12th year of Gwanghaegun’s reign (1616 and 1620), contributing greatly to pressing matters surrounding Joseon during the reigns of Seonjo and Gwanghaegun. In his 46 years of government service during the reigns of Kings Seonjo to Injo, he served extensively as minister in the Six Boards of the Government and served nine times as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twice as Chief Scholar. Of his writings, 25 volumes of Wolsajib, 1 volume of Seoyeongangeui and 1 volume of Daehakgangeoh remain. Gwanghaegun, the second son of King Seonjo born by his concubine Gongbin, was crowned prince at the age of eighteen on April 28 in the 25th year of Seonjo when Imjinwaeran broke out on April 13. He was crowned as the state of the nation became critical to support the morale of the people and to pursue bunjo during war. Four jucheongsas were dispatched over ten years, beginning with Yun Geun-su’s party in the 27th year of Seonjo’s reign (1594) to Yi Jung-gueui’s party in the 37th year of Seonjo’s reign (1604) ; all of the them returned unsuccessful. As the prince crowning jucheongsa to the Ming Dynasty in the 37th year of Seonjo’s reign (1604), Wolsa Yi Jung-gueui made diplomatic endeavors to ratify Gwanghaegun’s authority to the Ming empire’s elder statesmen and government officials but failed because of the established belief that the firstborn son of the king’s official consort should be crowned prince. The photographic edition of Keunmuk edited by Wichang Oh Sae-chang contains eight farewell records of writers and time periods that are clearly known and that are not in the collections in the writer’s handwriting. It includes records by Gu Sa-maeng, Ki Ja-heon, Kim Jong-nam, Mok Seo-heum, Samyung Yu Jung, Yi Hui-deuk, Choi Cheol-gyeon and Hong Jin. The poems appear in diverse forms such as the heptasyllabic regulated verse, the pentasyllabic regulated verse, and heptasyllabic extended poetry with the rhyming characters hoe, gyeong, ji, mun, ma in the neutral tone. The poems mostly congratulate Wolsa Yi Jung-gueui on being selected as the prince crowning jucheongsa, as he was the master of letters, and describe how important his mission to Yanjing is and how it is worthy of being written in history. The expressions in parting with him vary from having hearts full, being pained by the mere greenness of the grass, feeling heartache at the difficultly of parting, hoping that he would return successful, and promising a future meeting in the fall overlooking chrysanthemums with a wine jar when he returns successful.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basic future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한국어

이 글은 현재 남아있는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 1564∼1635)의 세자책봉(世子冊封) 주청정사(奏請正使)(1604)와 관련된 8편의 송별 기록을 대상으로, 월사 이정귀의 삶과 행적, 선조 37년(1604)의 세자책봉(世子冊封) 주청정사(奏請正使)와 책봉인준을 위한 대명외교, 세자책봉 주청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의 내용분석 연구이다. 월사 이정귀의 자(字)는 성징(聖徵)이고 호는 월사(月沙)이다. 그는 선조 10년(1577)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하였고, 선조 18년(1585)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선조 23년(1590)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는 문사(文詞)에 종사하여 세상의 종장(宗匠)이 되었는데, 특히 사대와 교린 관련의 외교문서에 탁월하여 선조 31년(1598), 선조 37년(1604), 광해군 8년(1616), 광해군 12년(1620) 4번이나 중국에 사신을 가서 선조∼광해군 시기에 조선을 둘러싼 긴박한 사안들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선조∼인조 시기에 46년간 벼슬길에서 육경(六卿)을 두루 역임하였고, 아홉 번의 예조판서와 두 번의 대제학을 맡았다. 저술로는 󰡔월사집(月沙集)󰡕 25권, 󰡔서연강의(書筵講議)󰡕 1권과 󰡔대학강어(大學講語)󰡕 1권이 남아 있다. 광해군은 선조와 후궁 공빈 사이에 태어난 둘째 아들로 선조 25년(1592)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4월 28일 18세 나이로 세자에 책봉되었는데, 이는 국가의 형세가 위급해지자 흐트러진 백성들의 마음을 유지시키며 전란 중에 분조(分朝)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선조 27년(1594) 윤근수(尹根壽) 일행의 1차 주청사에서 선조 37년(1604) 이정귀 일행까지 10여 년간 네 차례의 주청사를 파견했지만 모두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고 실패하였다. 월사는 선조 37년(1604) 세자책봉 주청사로서 명에 파견되어 각로(閣老)와 예부과관(禮部科官)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외교 활동을 폈지만 ‘장적(長嫡)을 세우는 것이 고금의 상경(常經)이라는 논리’에 막혀 실패하였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이 편집한 󰡔근묵(槿墨)󰡕 영인본에는 인물과 연대가 분명하면서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구사맹(具思孟), 기자헌(奇自獻), 김종남(金終男), 목서흠(睦敍欽), 사명 유정(惟政), 이희득(李希得), 최철견(崔鐵堅), 홍진(洪進) 등 8명의 송별 기록이 필자의 필적과 함께 남아 있다. 시의 형식은 칠언율시, 오언율시, 칠언배율 등 다양하고, 운자는 평성의 회(灰), 경(庚), 지(支), 문(文), 마(麻)가 사용되었다. 시의 내용은 대부분 월사 이정귀가 문장의 종장이라 다시 세자책봉 주청사로 발탁되었음을 축하하고, 그가 연경에 가는 임무가 얼마나 중요하고 역사에 남을 만한 일인지 기술하였다. 그를 떠나보내는 표현들은 마음이 벅차오르기도 하고, 푸른 풀빛조차 가슴이 아프기도 하고, 송별하기 어려워 가슴이 아프기도 하고, 반드시 성공하고 돌아오기를 바라기도 하고, 성공하고 돌아오면 술동이 곁에서 국화를 마주하는 가을을 기약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월사 이정귀의 삶과 행적
 3. 광해군의 세자책봉과 책봉인준을 위한 대명외교
 4. 세자책봉 주청정사와 관련된 송별 기록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