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레벨스케일에 따른 퓨어컬러 변화 - 애쉬 그레이 컬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ange of pure color by the level scale - Around the ash gray color -

엄슬기, 정연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In the past, the low-middle brightness recently begun to appear in various ash color brightness of famous fashion too. This study was coloring with the oxidant bleach mixed with bleached hair brightness and brightness changes according to the specific hair dye and evaluate the color and brightness changes accordingly. Methods The four-piece production levels to match the straw bundles were fading level scale. The wella ash gray hair dye to hair brightness by 12 steps, each bundle of 6% and an oxidant in 1: 1 ratio were measured by applying dry after washing the color difference was allowed to stand 35 minutes. Result As a result, first, through the brightness increase or decrease of red and yellow stars of the hair dye it may present a step-by-step indicator. Secondly, it can be seen that an increase of about red and yellow level becomes higher. Thirdly, step 12, step 14 of the hair dye is from 1: brightness mixed to when dyed is reduced by 1. Fourth, it is possible to represent the well-known degree to be necessary to use a mixing ratio of the presented oxidant for each company. Conclusion This provides an indication of decolorization number and brightness of the representation performed in the field, it would be able to build a practical basis for discolor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ustomer.

한국어

연구배경 과거의 저중명도에서 최근에 고명도의 애쉬 컬러 유행으로 다양한 명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색제와 산화제 혼합과 탈색에 따른 모발 명도 변화와 명도별 염모제를 착색시키고 그에 따른 컬러와 명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레벨 피스를 다발로 제작하여 웰라 레벨스케일에 맞춰 탈색을 하였다. 12단계의 모발 다발에 웰라 명도별 애쉬 그레이 염모제를 6% 산화제와 1:1 비율로 도포하여 35분 방치하였으며 세척하여 건조한 후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첫째, 명도별 염모제에 따른 붉은색과 노란색의 증감을 통해 단계별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레벨이 높아질수록 붉은색과 노란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12단계, 14단계 염모제는 1:1로 혼합하여 염색하였을 때 명도가 감소한다. 넷째, 회사별로 제시된 산화제 혼합 비율을 사용해야 원하는 고명도를 표현할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이뤄지는 탈색 횟수와 명도 표현의 지표를 제공하고 고객 간의 탈색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실제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레벨스케일
   2.1.1. 명도 척도
   2.1.2. 헤어 명도 레벨
   2.1.3. 웰라 레벨스케일
  2.2. 퓨어 컬러
  2.3. 애쉬 컬러 트렌드
   2.3.1. 애쉬 컬러 개념
   2.3.2. 애쉬 염색 기법
 3. 실험 재료 및 방법
  3.1. 실험 재료
   3.1.1. 시료 모발
   3.1.2. 실험 약제
   3.1.3. 실험 도구 및 기구
  3.2. 실험 방법
 4. 연구 결과 및 고찰
  4.1. 레벨 스케일에 따른 애쉬 컬러 변화
  4.2. 레벨스케일에 따른 애쉬 컬러 명도변화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엄슬기 Seul-ki Eom.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뷰티디자인전공
  • 정연자 Yeon-ja Jung. 건국대학교 뷰티디자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