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the Passive House Design Direction Suitable for Korean Climat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초록
영어
Background This study is basic design research of the engineering base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passive hous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of housing amenity that meet performance requirements in passive house and comply with the climate in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in conformity with domestic residents.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is to leading a review of the advanced studies and then look at the definition of passive house, quantitative performance criteria, design technique,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 and the relevant laws. The next to consider traditional Korean house that evolved over hundreds of years the environment in the climate of Korea that compared Western Europe on the benchmark criteria for Passive house in terms of solar radiation, humidity, ventilation, In the final, to suggest Korean passive house design direction and a plan direct to be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housing of Korea of the current period Result Passive house design techniques were derived from traditional Korean as follows : The restoration of the heat thermal buffer zone that does not, variable window system, fill or empty of space for the formation of an ascending air current, solar radiation on seasonal and humidity to control the eaves, seasonal natural shading device through a deciduous tree planting. Conclusion Derived in connection with the techniques, the development of modern elements of architecture and systems can apply techniques must be resolved in continued research.
한국어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적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공학기반의 디자인 기초연구이다. 즉 패시브하우스의 성능 요건에 충족되면서도 국내의 기후환경에 부합하고, 국내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적합하여 주거 쾌적성이 높은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패시브하우스의 정의와 정량적 요구성능, 디자인기법, 국내외 인증제도 및 관련법령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일사량, 습도, 환기의 측면에서 한국의 기후환경에 수백년 이상을 진화해 온 한옥과 패시브하우스의 기준이 되는 서유럽의 기준을 비교 고찰하고, 현대 한국의 주거환경에 구현될 수 있는 한국적 패시브 하우스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통한옥으로부터 도출된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기법으로는 난방하지 않는 열적 완충 공간의 복원, 가변적 창호시스템, 상승기류 형성을 위한 공간의 비움과 채움, 계절에 따른 일사 및 습도를 조절하는 처마, 낙엽수 식재를 통한 계절에 따른 자연 차양장치 등이 있으며, 현대 건축의 요소와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은 지속적인 연구로 해결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기대하는 효과는 한국의 기후조건과 주거생활의 특징에 기인하는 한국적 디자인 성능요건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부각시킴으로써, 에너지 절감 원리에 입각한 건축 성능과 거주자의 주거 쾌적성을 개선할 단서를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의 공학적 기술력을 갖춘, 디자인과 공학 융합적 접근의 연구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 고찰
2.2 패시브 하우스 개념 고찰
2.2.1 패시브 하우스의 정의
2.2.2 패시브하우스 정량적 요구성능
2.2.3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기법
2.3 국내·외 인증제도 및 관련법령
3. 한국형 패시브하우스
3.1 한국의 기후환경 및 주거행태 특성
3.1.1 일사량과 남향배치
3.1.2 습도조절과 통풍
3.2 한국형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