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의 장(場)으로서 공동식사의 함의(含意) ― 성서적,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mmon Meal Implications As an Educational Venue : Based on Significance of Biblical, Historical and Cultural Korea

양승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number of churches give a common meal in order to make congregants participate actively in ministry. A common meal is an educational venue in which people share meaningful experiences in their personal and religious lives. Unfortunately, such a love feast in church is turning to a superficial and perfunctory meal. This paper seeks measures to renew a common meal by investigating biblical,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meanings of a feast at church. From a biblical perspective, first, a meal of Passover in the Old Testament pursued intercommunion, egalitarianism, and consideration on social minorities. In the New Testament, it is evident that sharing a meal demonstrated fellowship, worship, meeting, joy, welcoming, salvation, openness, and breaking walls. From a historical understanding, second, Agape feast in early churches were identical with communion and reunion through which believers could practice love, comfort the poor, and learn to be humble. In addition, a love feast in Moravian stressed love and solidarity so that members could forgive and love one another in presence of reconciliation, kindness, and affinity. Early Methodists's love feast in sharing meals experienced liberation, equality, and brotherly affection. In particular, they went through religious conversion through heartwarming love fellowship and voluntary testimony. In Korean culture, third, sharing meals implies the meaning of family and peace. “식구(食口),” which means family in Korean, refers to people who eat the same meal and “평화(平和),” which means peace in Korean, derives from sharing the equal meal. Furthermore, Korean dining table community reveals the spirit of a banquet, a festival, and a holy medium. Based on various understanding on sharing a meal above, it seeks for measures to transform a love feast at church into a space in which people can be reunited in love and fellowship, form their faith through meaning-making, practice justice and peace as a duty of creatures, and discus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한국어

많은 교회에서 회중의 목회참여와 사역을 위해 공동식사를 행하고 있다. 공동식사의 자리는 삶과 신앙을 위해 의미를 추구하며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자리임에도 대부분의 공동식사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한 끼 식사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서적, 역사적, 문화적인 탐구를 통해 공동식사에 나타난 의미와 요소를 살펴보고 도출하면서 현대 교회의 공동식사를 갱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성서적 이해로써 구약의 식사는 하나님의 돌보심과 공급하심을 드러낸다. 또한 유월절 식사는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공동체의 상호교제와 평등주의의 지향,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나눔의 확장이 표출되었다. 신약의 식탁교제에서는 교제, 예배, 만남, 기쁨, 환대, 구원의 과정, 개방성, 경계 허물기가 나타났다. 둘째 역사적 이해로써 초대교회 아가페 식사는 사랑을 증진하며 가난을 위로하고 겸손을 훈련하는 교제와 연합의 식사였다. 그리고 모라비안의 애찬회는 유대관계 - 화합, 친절, 친화성과 더불어 지난 일을 용서하고 다른 이들을 더욱 사랑하기 위한 연합과 사랑이 핵심이었다. 초기감리교도들의 애찬회는 자유와 평등과 친밀한 형제애를 경험했으며, 마음 뜨거운 사랑의 교제와 자유로운 간증을 통해 회심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한국문화적 이해로써 밥과 식사에 나타난 식구(食口), 평화(平和) 등의 의미를 탐구하며, 밥상공동체에 담긴 잔치와 축제, 성찬에서 성매로써의 영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같은 다양한 이해와 의미추구를 통해 현대의 공동식사의 자리를 사랑과 교제를 나누며 연대하고, 경험과 의미를 통해 신앙을 형성하며, 피조물로서 정의와 평화를 실천하고 생태적 문제와 환경을 위한 의도적인 교육의 장(場)으로 갱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성서적 이해
  1. 구약에서의 공동식사
  2. 신약에서의 공동식사
 Ⅲ. 역사적 이해
  1. 초기 기독교교회
  2. 모라비안의 애찬회(lovefeast of Moravian)
  3. 초기감리교의 애찬회
 Ⅳ. 한국문화적 이해
  1. 밥과 식사의 의미
  2. 밥상공동체 영성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도서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준 Seung Joon Yang. 협성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