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설적 관여의 역동적 시스템 모델을 통한 미국-쿠바 관계 개선 분석 : 교황의 중개외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US-Cuba Rapprochement and Papal Media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al Systems Model of Constructive Engagement

조한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Pope Francis’ mediation role in the US-Cuba rapproch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systems model of constructive engagement, which is a revised model of ripeness theory of negotiation. Over fifty years, Cub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in conflict. Due to the swift chang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after the end of Cold War, they began to conceive that the future benefit of reconciliation would be bigger than the painful cost of maintaining hostile policies. Their common motives to seek a ‘way-out’ changed the attractor landscape representing the tendencies of their relationship system. Although an alternative attractor of constructive interaction between two countries made a series of secret negotiations started, their long-lasting distrust caused an impasse. Pope’s constructive engagement as a tipping point was decisive in reaching the agreement. The success of the Papal diplomacy was attributed to (1) the long-lasting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Cuba, (2) Castro’s strategic choice to gain popular support for the decrepit revolutionary government. (3) Obama administration’s practical approach, and (4) Pope Francis’ background of origin and active diplomacy.

한국어

본 논문은 미국과 쿠바의 협상 과정과 국제적 행위자로서 교황의 중개 역할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건설적 관여의 역동적 시스템 모델은 협상의 여건성숙이론을 바탕으로 협상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동기를 역동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오랜 갈등을 겪으면서 쿠바와 미국은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비용 증가에 따른 ‘고통’이 커졌다. ‘탈출구’로서의 대안을 모색하려는 동기는 건설적 상호작용 방향으로 나아갔고, 국제환경의 변화는 그러한 동기에 대한 장애요인을 약화시켰다. 양국이 분쟁 지속의 ‘비용’보다 화해의 ‘미래이득’이 더 크다는 공동의 인식을 이룸으로써, 양국관계를 묘사하는 어트랙터 지형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50여 년간 축적된 불신이 하루아침에 해소되지는 않았고,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난관에서 빠져나와 화해의 어트랙터로 양국 관계 시스템이 옮겨가는 과정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중개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즉, 교황의 관여가 티핑 포인트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1) 가톨릭교회와 쿠바와의 오랜 특수 관계, (2) 쇠퇴한 혁명정부에 대한 대중적 지지 확보를 위한 카스트로의 전략적 선택, (3) 오바마 행정부의 실리적 접근, (4) 프란치스코 교황의 출신 배경과 적극적 외교 정책 등의 요인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협상의 여건성숙이론과 건설적 관여 모델
 Ⅲ. 미국-쿠바 협상의 배경과 교황의 중개외교
  1. 미국-쿠바 관계의 어트랙터 지형 변화
  2. 교황의 관여와 티핑 포인트
 Ⅳ. 교황의 중개외교의 의미와 한계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한승 Han-seung Cho.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