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존 도로 구조와의 관계 분석을 통한 자전거도로 체계 특성 연구 - 국내외 도시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Finding Pattern Characteristics of Bikeway System through Analysis of Relation to the Existing Street Grid System - Focused on Comparative Study on Foreign and Domestic Cases -

김주일, 박수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pite all the incentive schemes and expansion of facilities, the rate of using bike as a transportational means still remains stationary, and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cause and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treet grid system based on Space Synta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ities with high bike-availability showed relatively dispersed flow patterns and bike roads constitute more independent network from vehicular traffic. On the contrary, Korean cities showed more concentrated flow pattern and bike roads tend to be subject to the pattern of vehicular network. This kind of road configuration basically brings in more conflict between bike and vehicular traffic, thus stability/safety of bike can be limited despite all the facility improvement. A different planning approach considering bike roads as a distinctive flow pattern and a parallel grid system to vehicular traffic is now required in bicycle-related policies and plans.

한국어

계속적인 장려책과 시설확충에도 불구하고 교통용도 자전거 이용률이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나는 가운데 한국과 해외 도시의 자전거도로체계구성을 비교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된 해외도시들의 경우 분산성이 높은 도로체계 가운데 자전거도로가 그 자체의 이동 특성을 살린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음에 비해 우리나라 도시의 경우는 편중성이 높고 전체 도로체계 구성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해외 도시의 경우 간선도로와 자전거도로를 분리·교차 배치하고 보행자공간과 조합하여 구성하는 등, 자전거도로가 하나의 독자적인 교통수단으로 역할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성방식을 보여주는 반면, 우리나라 도시의 경우 차량과 자전거의 흐름이 동일한 패턴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마찰이 많고 안전성이 낮은 한계를 나타낸다. 자전거도로를 하나의 유행이나 부가시설이 아닌 실질인 교통수단으로서 인식하고 고유한 교통 특성을 가진 독자적인 네트워크로 다룰 수 있게 하는 정책 및 계획방식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진행 방식
 2. 이론적 고찰 및 분석방법
  2.1 관련 법규 및 선행연구 고찰
  2.2 국내 자전거도로 관련 여건
  2.3 분석방법 모색
 3.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
  3.1 사례 선정
  3.2 도시별 전체 도로체계 특징
  3.3 자전거도로와 도로체계의 관계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주일 Kim, Ju-Il.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부교수, 공학박사
  • 박수민 Park, Su-Min. ㈜신영 사업1팀, 공학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