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주시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특성 및 입지 분석

원문정보

The Supply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in Gwangju

이준학, 노경수, 김인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 the revision of the Housing Act in May 2009,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urban‐type housing as an effort to promote urban common people’s residence stability through timely meeting of the demand for smalls‐size housing and improving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trend that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1~2 members is increasing steadily as a result of household differentiation, the demand and supply of urban‐life housing is expected to expand continuously, an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urban‐type housing supply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upplied urban‐type housing.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urban‐type housing is supplied in Gwangju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s of the introduction of urban‐type housing, this study analyzed supply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otal volume, time, scale, and types of supply using GIS‐based geographic and spatial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rban‐type housing contributed to the supply of smalls‐size housing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with regard to location, the supply was concentrated relatively on semi‐residential and commercial zones and this, in turn, caused the rise of rents. In addition, as most of the supply was of small‐sized units and studio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members, and to promote strategies for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ce stability.

한국어

정부는 2009년 5월 주택법 개정을 통해 소형주택 수요에 따른 적기공급과 주거환경을 개선해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고자 도시지역에 공급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도시형생활주택을 도입하였다. 앞으로 가구 분화 등에 따른 1~2인 가구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사회적인 추세를 감안할 때 도시형 생활주택의 수요와 공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공급된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실태와 입지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시의 도시형생활주택의 도입 및 목적에 맞게 공급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공급총량, 시기, 규모, 유형 등의 공급특성 및 입지특성을 GIS를 활용하여 지리적공간과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보면 도시형생활주택은 짧은 기간에 소형주택 공급에는 기여를 하였으나, 입지적으로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 상대적으로 공급이 많아 임대료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소형․원룸형 공급위주로 편중되어 향후 구성원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주택공급과 주거환경 개선 및 주거안정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겠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문헌연구
  2.1 선행연구고찰
  2.2 도시형생활주택 개념
 3. 광주시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특성
  3.1 시기별 공급특성
  3.2 규모별 공급특성
  3.3 유형별 공급특성
 4. 입지특성
  4.1 용도지역별 입지특성
  4.2 역세권 입지특성
  4.3 교통시설(버스정류장)에 따른 입지특성
  4.4 대학가 주변 입지특성
  4.5 지가에 따른 입지특성
  4.6 임대료 및 주차문제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준학 Lee, Jun-Hag. 조선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 노경수 Ro, Kyng-Su. 광주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공학박사
  • 김인호 Kim, In-Ho. 조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