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 안암동 도시한옥의 내외부 공간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in Anam-dong Urban Hanok, Seoul

김영수, 조준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urban hanok architecture by studying the evolution of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in hanok residential area, concentrated in Anam-dong1-2ga. Through this, we aimed to find the factors required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urban hanok as a form of residential architecture suited for dwelling purposes. The urban hanok is a new form of housing found in modern cities - it capitaliz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rinciples of traditional hanok architecture, while also taking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urban structure and environment. Therefore, this type of architecture still retains cert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residences not only in their use of standardized construction materials but also via the viability of mass construction and distribution. Thus, one can witness various patterns of change in urban hanok. These changes, on the one hand, demonstrate that the hanok has retained its viability as a maintainable form of architecture, while also exhibiting negative changes in the sense that such transformations take away the original form and unique attributes of hanok. In analysing the area chosen for the study, one can summarize that patterns of physical change in urban hanok include changes in contour, finishing materials and plan compositions. Patterns of change in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oom include the rearrangement of the function of rooms caused by the physical changes. Understanding the reasons and outcomes behind such changes may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urban hanok as a contemporary form of residential architectur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안암동 1·2가 일대의 도시한옥 주거지 및 내외부 공간 변화를 통해 현재 도시한옥의 변화양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시한옥이 지속 가능한 주거유형으로 유지되기 위해 요구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한옥은 근대기 도시지역에 우리의 전통한옥의 특징과 조영원리를 기반으로 도시조직과 환경을 고려하여 건축된 새로운 주거유형이다. 따라서 대량공급, 분양, 규격화된 건축재료의 사용 등 근대기 주택으로서의 특징을 담고 있다. 이후 도시한옥에서는 다양한 변화의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한옥이 여전히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건축유형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 도시한옥으로서의 원형과 특징을 잃어가는 부정적인 면도 있다. 조사지역의 도시한옥 평면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물리적 변화에서는 공간의 윤곽변화, 마감재료, 평면구성의 변화로 정리할 수 있으며, 실의 기능 및 성격의 변화에서는 물리적 변화에 따른 실들의 재배치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도시한옥이 현대 주거의 한 유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조사 및 연구방법
 2. 안암동 1·2가의 도시조직의 형성과 변화
  2.1 도시조직의 형성
  2.2 도시조직의 변화
 3. 안암동 1·2가 도시한옥의 변화양상
  3.1 안암동 1·2가 도시한옥 특성
  3.2 평면의 변화양상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수 Kim, Young-Soo.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건축학박사
  • 조준범 Cho, Joon-Beom. 목포대학교 도시및지역개발학과 교수, 건축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