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량이바구길의 공적ㆍ사적 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ublic & Private Space on Choryang Ibagu-gil : ‘Story the Way’ in Busan

신병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larifies the features of public and private space on Choryang Ibagu-gil in Busan. Choryang Ibagu-gil is the street that starts from Busan Station and leads to the road that crosses the mountainside. Choryang Ibagu-gil was first made into a street with stories in 2012, and its design and space structure are constantly changing, even today. Forming a public street for visitors from outside at the private domain of a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is bound to create a spatial conflict or change in its boundary, because spaces with different characters will inevitably meet. Ibagu-gil is an early model of a theme-based path with stories, many of which have since been made all over Korea, and as such is used as a reference by many people. Therefore,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of public and private space on Choryang Ibagu-gil will be a significant reference in creating many theme-based path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부산시의 초량이바구길의 공적·사적 공간구성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초량이바구길은 부산역에서 시작하여 산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산복도로가 있는 곳까지의 길을 말한다. 초량이바구길은 2012년에 처음 이야기가 있는 길로 만들어져서 지금도 계속 길의 디자인과 공간 구성이 변하고 있다. 사적 영역인 주거밀집지역에 만들어진 외부 여행객들을 위한 공적인 길의 조성은 필연적으로 서로 다른 성격의 공간이 만나는 곳이기 때문에 그 경계에서 공간적 다툼이나 변경이 있을 것이다. 본 이바구 길은 현재 전국에서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는 이야기가 있는 테마형 길의 초기모형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참고로 하는 길이다. 따라서 초량이바구길의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은 이후에 만들어질 많은 테마형 길의 조성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공적·사적 공간에 관한 논쟁
  2.1 공적 공간의 의미
  2.2 사적 공간의 의미
  2.3 공적·사적 공간의 경계
  2.4 공적·사적 공간관계 분석을 위한 규준(criterion)
 3.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성격
  3.1 포용과 배제(Inclusion & Exclusion)
  3.2 여행자와 거주민들의 통합과 분리(Integration & Segregation)
  3.3 공적 전유와 사적 전유(Public & Private Appropriation)
  3.4 상호교류와 고립(Interaction & Isolation)
  3.5 네 가지 분석규준(criterion)의 주요논점
 4. 초량 이바구길(Choryang Ibagu-gil)의 공적·사적 공간관계
  4.1 포용적 & 배제적 공적 공간 (Inclusive & Exclusive Public Space)
  4.2 통합적 & 분리적 공적 공간 (Integrative & Segregative Public Space)
  4.3 사적 공간의 공적 전유 & 공적 공간의 사적 전유
  4.4 공적공간의상호교류와고립(Interaction&Isolation)
  4.5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통합적 특징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병윤 Shin, Byang-Youn. 동의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