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민지시기 한국 漢詩選集의 존재상과 문학사적 의의 ― 柳栢榮 編 『八家精華』(1939)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dentity of the Anthologies of Sino‐Korean Poetry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 Focusing on Palgajeonghwa (1939) edited by Ryu Baek‐yeong

식민지시기 한국 한시선집의 존재상과 문학사적 의의 ― 류백영 편 『팔가정화』(1939)를 중심으로

한영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newly investigated and arranged the literature unknown to the public to explore the anthologies of Sino‐Korean poetry edited in the period of colonial Korea, and lighted up the characteristics of Palgajeonghwa, the anthologies of Sino‐Korean poetry published in 1939 in the flow of such streams. Palgajeonghwa is a collection of great eight poets’ 1,057 poems of 7eonyulsi (seven‐syllabic verse with a fixed form)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1920s. In volume 1, there are poems from Jo Su‐sam (25 poems), Shin Wi (207 poems), Kim Jeong‐hee (55 poems), Lee Hak‐gyu (50 poems), and Kang Wi (260 poems), and in volume 2, there are poems form Kim Taek‐yeong (98 poems), Lee Geon‐chang (96 poems), and Hwang Hyeon (266 poems). Palgajeonghwa is the anthologies of Sino‐Korean poetry with the major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n a perspective that Palgajeonghwa was a collection of 8 poets’ 7eonyulsi, it purely had editor’s intention of presenting exemplary Sino‐Korean poetry rather than that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Second, in the fact that Palgajeonghwa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Jaha Shin Wi and specifically embossed Kim Taek‐yeong’s poems, it had a perspective regarding important Taek‐yeong’s criticism and his poems. Specifically embossing Kim Taek‐yeong’s criticism and his poems was a special choice with a subjective opinion in a position of Sino‐Korean professional in the era. Third, all of the eight families of Palgajeonghwa had ‘Seoul literary style,’ and it is assumed that the editor Ryu Baekyeong had the intention of presenting poems with Seoul literary style to Daegu region through selecting those poems. Palgajeonghwa required the necessity of it and was published within a special community of Daegu, and it is assumed that it was closely utilized in the local Daegu in reality.

한국어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에 편찬된 한국 한시선집의 존재상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문헌을 새롭게 조사하여 정리하고, 그러한 흐름 속에서 1939년 간행의 한시선집 『八家精華』의 특성을 조명하였다. 『팔가정화』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을 지니는 시선집이었다. 첫째, 『팔가정화』는 8가의 7언율시만을 모았다는 점에서 순수한 의미를 감상과 비평을 위한 의도에서이기보다는 모범적 한시 규범집을 제시하려는 편자의 의도를 지녔다. 둘째, 『팔가정화』는 자하 신위의 시를 중시하고 또 김택영의 한시를 특별히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창강의 비평안과 창강의 시를 중시하는 관점을 지녔다. 김택영의 비평안과 그의 한시를 특별히 부각시킨다는 것은 당시 영남의 한문지식인의 입장에서, 매우 주견을 가진 특별한 선택이었다. 셋째, 『팔가정화』의 8가는 모두 ‘서울의 文風’을 지녔던 시인들인데, 편자 류백영은 이들 시의 선발을 통해 대구 지역에 문학성을 띤 서울풍의 시를 제시하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판단된다. 『팔가정화』는 대구라는 특수한 커뮤니티 안에서 그 필요가 발의되고 또 간행되었으며 실제 대구 현지에서 긴밀하게 활용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한시선집의 존재 양상과 『팔가정화』
 Ⅱ. 『八家精華』 편자 柳栢榮의 입지와 성향
 Ⅲ. 『팔가정화』의 편찬 의도
  1. 문학성을 갖춘 한시 규범집 지향
  2. 김택영 견해의 적극 수용
  3. ‘서울 文風’을 지역에 소개 수용하려는 의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영규 Han, Younggyu.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